An Essay in a Research on Gwonwu Hong Chan-yu's Poetic Literature - Focussing on Classical Chinese Poems in Gwonwujip

권우(卷宇) 홍찬유(洪贊裕) 시문학(詩文學) 연구(硏究) 시론(試論) - 『권우집(卷宇集)』 소재(所載) 한시(漢詩)를 중심(中心)으로 -

  • 윤재환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3.01.26
  • Accepted : 2013.03.08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Gwonwu Hong Chan-yu is one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scholars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one of the literati of his era, so is respected as a guiding light by academic descendants. Gwonwu was a teacher of his era, who experienced all the turbulence of Korean society, such as the Japanese occupation by force, the Korean War, the military dictatorship, and the struggle for democracy, and who educated and led young scholars of his time. However, academia has not payed attention to his life and achievements since his death.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etry of Gwonwu Hong Chan-yu, one of the representative modern and contemporary scholar of Sini-Korean literature, which has not yet been discussed by academia. The minimal meaning of this paper is that it is a first work based on his anthology,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by academia, and a first full-scale study on Gwonwu Hongchan-yu. For the reason, this paper aims at the detailed inspection of his poetic pieces recorded in his anthology. Nonetheless, despite such intentions, some limits cannot be avoided here and there in this paper for the insufficient knowledge and academic capability of this paper's writer and for the lack of academic sources. Gwonwu's poetry examined through his anthology shows the characteristic which is that his poems focus on exposing his own internal emotions. Such a characteristic says that his idea of poetic literature payed attention more to individuality, that is exposition of private emotions, than to social utility of poems. Gwonwu's such an idea of poetic literature can be generally affirmed throughout his poetry. Accordingly, Gwonwu preferred classical Chinese poems to archaistic poems, and single poems to serial poems; and avoided writing poems within social relations such as farewell-poems, bestowal-poems, and mourning-poems. When the characteristics of Gwonwu's poetic literature get summarized as such, however, some questions remain. The preferential question is whether the poems in his anthology are the whole poetry of him. Although Gwonwu's poetic pieces that the writer of this paper have checked out till now are all in his anthology, it is very much questionable whether Gwonwu's poetry can be summed up only with these poems. The next question is what is the writing method for taking joy(spice), sentiment, and full-heart into his poems if Gwonwu's poems focus on exposing his internal emotions, and if poems exposing joy and poems exposing sentiment and full-heart appear coherently in various different spaces and circumstances of writing. The final question is what are the meanings of Gwonwu's poems if his poetry checked out through his anthology directly shows either the reality carried in his poems or the reality of a time in his life. The questions listed above are thought to be resolved by the synchronizing process of stereoscopic searches both for Gwonwu as an individual and for the era of his life. Especially, spurring deeper researches toward a new direction regarding Gwonwu's poetry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construction of a complet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for procurement of continuous research on Sino-Korean literature and its history. For the reason, it is thought that more efforts of researchers are required.

권우(卷宇) 홍찬유(洪贊裕)(1915~2005)는 대한민국 근 현대 시기 대표적 한학자(漢學者)의 한 사람이자 시대의 지성인(知性人)으로, 학계의 후예들에 의해 사표(師表)로 추앙받고 있는 인물이다. 권우(卷宇)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독재와 민주화의 투쟁기라는 한국 사회의 지난한 혼란기를 몸소 겪으며 당대의 젊은 학자들을 교육하고 이끌었던 시대의 스승이었지만, 운명 이후 지금까지 그의 생애와 업적에 관한 학계의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글은 아직까지 학계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근 현대의 대표적 한학자 권우(卷宇) 홍찬유(洪贊裕)의 시문학 세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그간 학계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권우(卷宇) 홍찬유(洪贊裕)의 문집에 근거한 최초의 작업이고, 그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의 시작으로 최소한의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이 글은 그의 문집 속 시문학 작품에 대한 세부적인 점검을 우선적인 목표로 삼는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의도에도 불구하고 필자의 부족한 지식과 학문적 역량, 자료의 불비(不備)로 인해 이 글의 곳곳에서 한계가 노정될 수밖에 없다. 권우(卷宇)의 문집을 통해 본 권우(卷宇)의 시세계는 그의 시가 자신의 내적 정서의 표출을 시의 중심에 두고 있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특징은 권우(卷宇)가 지니고 있었던 시 의식이 시의 대사회적 효용보다 개인적 정서의 표출이라는 개인화에 보다 주목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권우(卷宇)의 시 의식은 그의 시문학 세계 전반에서 고르게 확인이 된다. 이에 따라 권우(卷宇)는 고시보다 근체시를, 연작시보다 단형시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송별시나 증여시 만시와 같은 대사회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시의 창작을 꺼렸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권우(卷宇)의 시문학 세계가 지니는 특성을 이렇게 정리하였을 때 몇 가지 의문점이 남게 된다. 우선적으로 지닐 수 있는 의문은 그의 문집 속 시문학 작품들이 그의 시세계 전부인가 하는 것이다. 현재 필자가 확인한 권우(卷宇)의 시문학 작품은 모두 문집 속에 수록되어 있는 것이지만, 권유의 시문학 세계가 이 작품들만으로 정리될 수 있는 것인가 하는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크다. 다음으로 지니게 되는 의문은 권우(卷宇)의 시문학 작품들이 내적 정서의 표출을 시의 중심에 두고 있으며, 흥(興)의 정서를 표출한 시와 감회(感懷)와 감개(感慨)의 정서를 표출한 시가 각기 다른 시문학 작품의 창작 공간과 상황에서도 동일한 모습으로 드러난다면, 각기 다른 성격의 흥취(興趣)와 감회(感懷) 감개(感慨)라는 정서를 시문학 작품 속으로 옮겨간 구체적인 창작 방법은 어떠한가 하는 것이다. 마지막 의문점은 만약 지금까지 문집을 통해 확인한 권우(卷宇)의 시문학 세계가 그의 시가 지니는 실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한다면, 혹은 그의 생애 중 한 시기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한다면 그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의문점은 권우(卷宇) 개인에 대한 탐색과 아울러 시대에 대한 탐색이 입체적으로 동시에 진행되어야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권우(卷宇)의 시문학 세계에 대해 던지는 새로운 방향의 심화 연구 촉구는 근 현대 한문학사의 온전한 구성과 한문학사 한문학 연구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자의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