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sensemaking of the chief executives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n their leadership development - Centered on the Communit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

사회복지기관장의 센스메이킹이 리더십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8.05
  • Accepted : 2013.09.23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effective leadership in the Communit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CCCD).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and the concept of 'Sensemaking', a term introduced by Weick (1995), I described and explored the process of leadership. Sensemaking enables leaders to have a better grasp of what is going on in their environments. Sensemaking theory offers a perspective on leadership that resolves successfully complex situations surrounding the CCCD. The CCCDs face the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a paradigm shift of disability and a rivalry system with private services. In this time of uncertain change, the CCCDs are in need of leadership of the executives who could reduce complexity with shared meaning. Data were collected over 5 weeks from the 6 CCCDs,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middle managers and chief executives. The interview scripts were thematically analyzed through Atlas-ti programme. The findings showed three subjects, the people's perception of environment, organizational visioning and interactions among post positions. Even though the 6 CCCDs were under the same environment, the perceptions and the enactments of the practitioners were influenced by the chief executives' sensemaking.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chief executives' sensemaking were the daily interaction as well as ongoing reflection on their experiences.

장애인복지관은 장애패러다임의 변화와 더불어 사회서비스 체계의 민영화, 사회복지시설 평가 강화로 경쟁체제로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으며 국고보조금의 축소로 재원마련도 고심해야 하는 환경에 놓여있다. 2000년 이후부터 환경변화가 급속화되면서 장애인복지관의 최고관리자들은 조직의 존립과 발전을 동시에 생각해야 하는 리더십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장애인복지관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리더십을 분석하기위하여 Weick(1995)의 센스메이킹(sensemaking) 이론적 틀에 근거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장애인복지관 6곳의 관장, 팀장, 실무자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직원 1명을 포함한 2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012년 3월 말부터 5주에 걸쳐 반구조화면접을 실시한 후 녹취록을 Atlasti 질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제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구성원의 환경인식, 조직의 방향성 정립, 직위 간 의사소통의 세가지 주제들로 분석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6개 장애인복지관은 같은 환경변화 하에 놓여 있었지만 최고관리자의 센스메이킹 여하에 따라 중간관리자는 물론 일선실무자의 업무 인식과 실행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고관리자가 자신의 경험에 대한 성찰과 더불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센스메이킹을 할 때 조직 구성원들을 같은 방향으로 이끄는 리더십이 발현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