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ons on Rock Cliff Development in Dunduri, West coast of Korea, Using Schmidt Hammer Rebound Values and OSL Chronology

슈미트해머 반발도와 OSL 연대에 기반한 둔두리 해식애의 형성과정

  • Received : 2013.03.13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Rock strength test on Dunduri cliff, Chungnam province, Korea, was performed using N-type Schmidt hammer and the depositional ages of the sediments overlying the cliff were derived using OSL dating method. The averaged R-values of the cliffs investigated here were lower than those observed from the shore platforms, but with larger scatter in the former. R-valu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cliff face retreat, implying that the irregularity of the coastal rock faces was closely related to lithology as the weaker rocks retreated much faster than the harder rocks. The overlying deposit of the cliff tends to be thicker at valleys and were poorly sorted with angular to subangular clasts in a matrix of silt. The OSL ages (ca. 70-77 ka) presented here were older than the previously reported exposure ages (ca. 7-30 ka) of the cliff face. Therefore, it is likely that the present sea cliff was developed by expansion of the platform which had been covered by slope deposits since the last interglacial and exposed again during the Holocene.

충남 둔두리 해안에 분포하는 해식애에 대하여 슈미트해머 반발도를 측정하고, 해식애 피복층에 대해 OSL 연대를 측정하였다. 이 해식애의 평균반발도는 인접한 파식대에 비해 평균적으로 작았지만, 지점에 따른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후퇴거리가 증가할수록 반발도가 감소하였다. 암질의 차이 때문에 약한 부분이 강한 곳보다 빠르게 후퇴하며 해식애 표면이 불규칙하게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식애를 덮고 있는 피복층은 원마도가 낮은 역과 실트로 구성되어 있고 분급이 불량하였으며 계곡부의 퇴적층후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나타났다. 여기서 채취한 세립퇴적물의 OSL 연대(약 70~77 ka)는 기존연구에서 우주선유발동위원소를 이용한 해식애 노출연대(약 7~30 ka)보다 오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둔두리 해식애는 지난 간빙기 이후 사면퇴적물에 의해 피복되었던 파식대가 홀로세 동안 피복층이 제거되면서 확장되는 과정에서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해수면 상승에 대비한 해안경관 대응방안 연구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