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len analysis of alpine wetlands on Mt. Jeombong in Gangwon-do, South Korea and climate change during the late Holocene

점봉산 고산습지의 화분분석과 홀로세 후기 기후변화

  • Yoon, Soon-Ock (Dept. of Geography and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Kyung Hee University) ;
  • Kim, Minji (Dep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 Hwang, Sangill (Dep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 김민지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황상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13.12.20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11 alpine wetlands at the upper reaches of Bangtae River on a high flat summit around Mt. Jeombong were found. Two core samples(JB-1 and JB-2) among them were collected in order to reconstruct paleovegetation history and climate change using pollen analysis. Pinus and Quercus dominated at the wetland of JB-2 with a deep water depth were developed from 1,700 yr BP to 1,000 yr BP of the pollen zone I. Subsequently Quercus dominated in the pollen zone II from 1,000 to 400 yr BP, and it is supposed that warm weather prevailed with oak climax forest corresponding to the Medieval Warm Period. Moreover, sphagnum grew densely in the alpine wetlands and the wetlands were extended widely on the summit around Mt. Jeombong with the beginning of subzoneIIc at JB-2. The pollen zone III from 400 yr BP to the present with an increase in Pinus and a decrease in Quercus suggests cold climates under the Little Ice Age. Moreover, human disturbances at JB-2 were more significant than those at JB-1, based on the increase in Pinus.

점봉산 고위평탄면상 방태천 상류부에서 11 지점의 고산습지가 발견되었다. 그 가운데 2개 지점(JB1, JB-2)에서 화분분석을 행하여 약 1,700년 BP 이래 점봉산 일대의 고식생 및 기후변화를 추정하였다. JB1 지점에서 화분대I의 1,700~1,000년 BP 경에는 소나무속과 참나무속이 우점한 환경에서 수심이 있는 고산습지가 형성되었다. 화분대II 시기는 1,000~400년 BP 경에 해당하며, 참나무속이 극상림을 이루며 온난화 경향이 뚜렷하여 중세온난기와 대비된다. 또한, 습지에는 물이끼류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화분아분대IIc 시기에는 고산습지가 넓게 확대되면서 JB-2의 습지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화분대III 시기는 약 400년 BP 이래 현재까지로 소나무속이 증가하고 참나무속이 상당히 감소하였으며, 소빙기 기후 환경을 반영한다. 또한 소나무속의 증가로 볼 때 JB-1보다 JB-2에서 인간 간섭의 영향이 더욱 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기상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