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ployment Protection Legislation Concerning Service Provision Change in Great Britain

노무용역 공급업체의 변동에 관련된 영국의 고용보호 법제

  • Received : 2013.04.22
  • Accepted : 2013.06.04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Most of all the transfer of undertakings in such a service provision business as labour-intensive operation creates uncertainty of employment, aggravates terms of employment and breaks a trade union. However there are no regulations in Korea to protect employees from these undesirable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Great Britain has introduced the concept of a transfer of undertakings by service provision change in 2006. It was intended to remove or at least alleviate the uncertainties and difficulties created by the need under TUPE 1981 and EU Directive to establish a transfer of a stable economic identity which retained its identity in the hands of the alleged transferee. In contrast to the words used to define transfer in the 1981 Regulations 'service provision change' is a wholly new statutory concept and distinguished from the economic entity. The new provisions seems to be straightforwards and the circumstances in which service provision change is established are clearly set out in Regulations. In this context there is no need for a judicially prescribed multi-factorial approach, as advanced by European Court of Justice like Spijkers test. The new concept of service provision change apply even though there are some minor difference or differences between the nature of the tasks carried on after service provision change as compared with before it. A commonsense and pragmatic approach is required and It is enough only to ask whether the activities carried on by the alleged transferee are fundamentally or essentially the same as those carried out by the alleged transfer. TUPE 2006 of Great Britain far exceeding the scope of the Acquired Rights Directive is full of suggestions as a model of legislation to secure a stable employment itself and favorable and fair conditions of employment. More active efforts are needed for lawmaking to prohibit a dismissal and vary conditions of employment for the reason of the transfer of undertakings itself.

노무용역 제공사업의 근로자들은 거의 특별한 기능이 필요하지 않는 단순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다. 대부분 노동법의 기본원리상 금지된 근로자공급 사업에 가까운 전근대적인 고용형태로 일하는 경우가 많고 그만큼 근로조건이 나쁘고 고용불안이 일상화되어 있다. 일자리가 없어진 것이 아니라 다른 사업자에게 넘어가는 것뿐인데 근로자나 근로조건만 바꾸어 이윤을 극대화 하는 기업의 행위는 규범적으로 정당화되기 어렵다. 기업변동에 수반되는 일자리의 상실에 대한 두려움은 인격의 존엄성을 모독할 수 있는 심각한 위협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런 점에서 유럽지침의 보호범위를 넘어서 노무용역 제공자의 변경의 경우까지 고용과 근로조건을 보호하고자 한 영국의 사례는 입법모델로서 시사하는 바가 많다. 영국은 법원과 의회가 고용승계의 요건인 사업의 동일성여부 판단기준의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EU 지침과는 다른 태도를 취하였다. 특히 2006년 기업이전(고용보호)법은 아웃소싱을 포함한 '서비스공급주체의 변경'이라는 사업이전의 방식을 고용승계의 대상으로 명문화 하였다. 신설된 서비스 공급주체의 변경에는 외부위탁, 노무용역 공급업체의 변경, 외부 위탁한 업무를 다시 내부로 돌리는 내부화의 세 가지 형태가 구체적으로 열거되었다. EU 법에서는 사업이전이란 개념의 확대 해석에 의하여 이 문제의 해결을 시도한 반면 영국은 입법으로 이를 명확히 하고 그 보호범위를 확대하였다. 한국도 안정적인 일자리와 인간다운 근로조건의 보장이라는 헌법적 가치의 실현이 그것을 가장 필요한 사람들을 외면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입법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