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The Economic Impacts of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 김태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R&D실용화센터) ;
  • 진세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산업연구실) ;
  • 박세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산업연구실) ;
  • 표희동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경영학과)
  • Kim, Tae-Young (Center for Promoting Utilization of R&D results, KIOST) ;
  • Jin, Se-Jun (Environment & Economics Assesment Section, KIOST) ;
  • Park, Se-Hun (Environment & Economics Assesment Section, KIOST) ;
  • Pyo, Hee-Dong (Department of Marine Business and Economics of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3.04.27
  • 심사 : 2013.06.17
  • 발행 : 2013.06.30

초록

경제 발전과 산업의 발달로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 개발이 필수적이며, 그 대안으로 해양 미생물에 기초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해결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의 제3차 신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 계획에 근거하여, 2030년까지 바이오에너지 부분의 50%인 500만TOE를 해양 바이오에너지에서 생산하려 한다. 본 연구는 국가 경제에서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생산유발, 부가가치 유발, 취업유발에 미치는 효과 및 연구개발 유발효과 4가지를 분석하되,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기본부문 기준 403부문 중에서 66개 부문을 해양 바이오에너지 관련 부문이라 정의한 후, 해양바이오에너지 관련 부문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한다.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에 2,234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면, 생산유발효과 3,123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865억원, 취업유발효과 1,151명, 연구개발 유발효과 47.8억원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량적 정보는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상용화에 대한 정책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We need to develop new renewable energy that could fundamentally replace fossil fuel, since the volume of economy and industry of our time becomes uncontrollably enormous. One of the alternative is to develop energy based on marine biomass, which would meet environment and energy needs at the same time. The marine bio-energy productions is supposed to occupy 50% to 500 million TOE in bio-energy production that is based on the Korean 3rd new renewable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utilization, supply plan until 2030.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input-output analysis to investigating the economic impacts of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hows what national economy effect of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inducing effect, employment-inducing effect, and R&D-inducing effect are explored with demand-driven model.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and classify the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sector from I-O table. Also, this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by taking the industry as exogenous specification and then investigating its economic impacts. The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case 223 billion won,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are 312 billion won, 87 billion won, 1,151 persons, and 5 billion won respectively. These quantitative informa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the policy-making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0)
  2. 강도형 외: "미세조류 바이오연료 상용화를 위한 주요인자 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제341권 제4호, pp. 365-384. (2012)
  3. 김요한, 김기남, K.I. Ekpeghere, 고성철: "해양바이오에너지의 현재와 미래", 대한토목학회지, 제 59권, 제5호, pp. 63-70. (2011)
  4. 유승훈: "정보통신산업의 국민경제적 산업파급효과 분석", Telecommunications Review, 제13권, 제3호, SK Telecom, pp. 347-359. (2003)
  5. 유승훈: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심층수 산업화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0권, 제4호, 한국산업경제학회, pp. 1345-1357. (2007)
  6. 유승훈, 양창영: "지상파 방송광고 단가 변동의 경제적 파급효과", 광고연구, 제75권, 한국방송공사, pp. 143-162. (2007)
  7. 유승훈, 임응순, 구세주: "광고산업의 국민경제적 산업파급효과 분석", 광고연구, 제78권, 한국방송공사, pp. 189-214. (2008)
  8. 유승훈, 정동원, 박세헌: "태평양 심해저 망간단괴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Ocean and Polar Research, 제32권, 한국해양연구원, 제4호, pp. 489-499. (2010) https://doi.org/10.4217/OPR.2010.32.4.489
  9. 유승훈, 허재용, 김기주: "투입산출표의 외생화를 이용한 전파방송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17권, 제5호, 한국산업경제학회, pp. 1593-1612. (2004)
  10. 이철균: "해양조류유래 해양바이오에너지", BT News, pp. 23-25, 30-31. (2009)
  11. 지식경제부: "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 보급 기본계획(2009년-2030년)". (2008)
  12. 진세준, 유승훈: "풍력발전 해외수출의 경제적 파 급효과 분석", 에너지공학, 제21권, 제1호, pp. 311-321. (2012)
  13. 진세준, 유승훈: "석탄화력발전 해외수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에너지공학, 제22권, 제1호 pp. 17-27. (2013)
  14. 한국은행: "2009년 산업연관표". (2011)
  15. 허재용, 유승훈: "지식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 국가간 비교분석 : 한국, 미국, 일본, 영국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6호, 한국산업경제학회, pp. 3189-3208. (2009)
  16. 표희동 외: "통영해역 바다목장화사업 경제성 평가분석",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 (2007)
  17. Bulmer-Thomas, V.: "Input-Output Analysis in Developing Countries", New York, Wiley (1982)
  18. Ciaschini, M.: "Input-Output Analysis", London, Chapman and Hall (1988)
  19. Ghosh, A.: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ica, 25, 58-64. (1958) https://doi.org/10.2307/2550694
  20. Han, S. -Y., Yoo, S. -H., & Kwak S. -J.: "The role of four electric power sectors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Policy, 32, 1531-1543. (2004) https://doi.org/10.1016/S0301-4215(03)00125-3
  21. Kwak, S. -J., Yoo S. -H. and Chang J. -I.: "Role of maritime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Marine Policy, 29, 371-383. (2005) https://doi.org/10.1016/j.marpol.2004.06.004
  22. Miller, R. E., & Blair, P. D.: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New Jersey, Prentice-Hall (1985)
  23. Miller, R. E., Polenske, K. R., and Rose, A. Z. (ed.): "Frontiers of Input-Output Analysi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24. Wu, R. H., & Chen, C. Y.: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y Economics, 12, 71-76. (1990) https://doi.org/10.1016/0140-9883(90)90010-D
  25. Yoo S. -H., & Yang C. -Y.: "Role of water utilit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International Journal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15(4), 527-542. (1999) https://doi.org/10.1080/07900629948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