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속 걷기와 도시 공간의 박물관화: 수행적 공간으로서 대구 근대골목투어

Walking in the City and the Museumification of Urban Space: Daegu's Modern Street Tour as a Performative Space

  • 이희상 (대구서부고등학교 교사 및 대구가톨릭대학교)
  • Lee, Heesang (Daegu Seobu High School, and Lecturer,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투고 : 2013.09.23
  • 심사 : 2013.10.22
  • 발행 : 2013.10.31

초록

박물관화라고 할 때, 그것은 흔히 가짜 역사, 장소상실 혹은 모조품의 의미로 접근되어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도시 속 걷기라는 육체적-공간적 수행과 도시 공간의 박물관화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육체적-공간적 수행으로서 걷기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한다. 그런 다음 대구 근대골목투어의 사례를 통해 특히 그 투어 지도에 초점을 두면서, 걷기라는 육체적 수행이 그 투어의 도시 공간을 어떻게 박물관화된 공간으로 구성하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투어 참여자들의 블로그와 여타의 웹사이트를 또 다른 수행적 공간으로 보면서, 걷기라는 육체적 실천이 투어의 담론과 공간을 현실 공간뿐만 아니라 가상 공간에서 어떻게 재생산하는지를 조사한다. 본 연구는 도시 공간에 내재된 이질적이고 다중적인 시공간의 미묘한 결합체를 박물관 공간의 절대적이고 선형적인 시공간 질서와는 다른 속성으로서 제시한다.

When it comes to museumification, it has often been approached in terms of false history, placelessness or simulacra. However,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bodily-spatial performance of walking in the city and the museumification of urban space. For this, first it reviews theoretical discussions of walking as a bodily-spatial performance. Then, in the case of Daegu's Modern Street Tour and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tour map, it looks at how the bodily performance of walking constructs the urban space of the tour as a museumified space. Finally, seeing the participants' blogs and other websites as another performative space, it examines how the bodily performance of walking reproduces the discourse and space of the tour in virtual space as well as in actual space. The study suggests the elusive assemblage of heterogeneous and multiple time-spaces immanent in urban spa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solute and linear order of time-space in museum spa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