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직원의 감정 부조화, 소진 및 직무만족도의 인과관계에서 감정노동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oderating Role of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i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 정효선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 윤혜현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Jung, Hyo-Sun (Dept. Culinary Science and Foodservice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 Yoon, Hye-Hyun (Dept. Culinary Science and Foodservice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3.06.25
  • 심사 : 2013.09.15
  • 발행 : 2013.09.30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특급호텔 종사원의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종사원의 감정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에 위치한 특급호텔 종사원 377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최종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chi}^2$=307.888, df=51,GFI .890, AFGI .833, NFI .931, IFI .942, CFI .942 등으로 나타나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특급 호텔 종사원의 감정 부조화는 직무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beta}$=.194; t=3.533; p<.001), 직무만족도에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었고(${\beta}$=-.352; t=-6.906; p<.001), 직무소진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267; t=-5.261; p<.001). 감정노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표면행위는 감정부조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는데, 호텔 종사원의 감정부조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표면행위가 낮은 집단보다, 표면행위가 높은 집단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loyees' emotional labor on the relationships among hotel employees'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survey was administerd to 377 employees working for deluxe hotels in Kor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fit to the data well(${\chi}^2$=307.888, df=51, p<.001, GFI .890, AFGI .833, NFI .931, IFI .942, CFI .942). The finding showed that employees' emotional dissonan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ir burnout (${\beta}$=.194; t=3.533; p<.001) an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beta}$=-.352; t=-6.906; p<.001). In addition, employees' burnou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beta}$=-.267; t=-5.261; p<.001). For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loyees' emotional lab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gnificant relationships varied to employees' surface acting whereas deep acting did not.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