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ale Estimation of External Garden by Landscape Components and Fractal Structure in Seoseokjiwon(瑞石池園)

영양 서석지원(瑞石池園)의 경관요소를 통한 외원 규모 추정 및 프랙탈 구조(Fractal Structure)

  • Kil, Sung-Ho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ang, Byoung-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길승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양병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Received : 2013.04.02
  • Accepted : 2013.10.28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e studies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have been a lot of diachronic approaches through ancient documents and on-site investigation.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inherent symbolism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space, such as site characteristics. There are many studies for inner gardens, outer gardens and other influential ranges of gardens of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However, studies on the scale of external gardens were not satisfactory from a quantitative perspective. Unlike private life sphere,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ole of a sphere of public community life for outer gardens. Visi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and GIS programs to estimate the magnitude of the outer garden. When it was compared with Min G. H.(1982) research, it is almost the same if it is estimated to focus on Buyoung -bong(芙蓉峯) and Ip-am(立巖). Also, as a result of the fractal structure for a variety of symbols in the garden, fractal dimension in landscape elements is relatively concentrated, unlike in other areas. Thus, the external scale can be a means of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out of the crucial perspective for the inner garden. There has been consideration of the cooperation with the visual complexity using the concept of fractal structure as one of the elements of landscape analysis.

지금까지 별서정원과 관련된 연구들은 고문서 및 현장조사를 통한 통시적인 접근을 많이 해왔다. 전통조경공간의 상징성, 입지 특성 등 그 공간에 내재된 특성에 초점을 둔 연구들이 많았다. 하지만, 입지 특성 중 내원, 외원, 영향권에 대한 특성은 많았으나, 외원 규모에 대한 정량적 연구는 미진하였다. 사생활권역인 내원과 달리 공동생활권역으로서의 역할인 외원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하기 위해 서석지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서석지원를 대상으로 기존 문헌들과 GIS 프로그램을 통해 가시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외원 규모를 추정하였다. 선행연구와 일부 차이가 있었지만, 부용봉과 입암 중심으로 확인해본 결과, 거의 유사한 면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정된 외원 규모를 통해 서석지원의 다양한 상징성에 대한 프랙탈 차원을 분석해본 결과, 주요 경관요소에서 프랙탈 차원이 상대적으로 집중화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주요 경관요소는 청기천을 제외하고, 일반 자연경관(논, 밭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 및 넓은 범위의 프랙탈 차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외원규모가 그동안 별서정원의 형태 중 내원에 대한 문화재 보호에서 벗어나, 외원에 대한 문화재 보호수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번 연구가 경관분석 요소 중 하나로서 프랙탈 구조 개념을 도입하여 주요 경관요소에 대한 시각적 복잡성에 대해 고려하였지만, 각 경관요소에 대하여 시문학과 더불어 좀 더 융합적인 사고의 결과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휴, 심우경(2004) 주거입지의 풍수해석과 공간특성을 기초로 한 입지평가모형 개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13-26.
  2. 김동훈, 김용기, 김두규(2003) 서석지원의 조영배경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4): 1-13.
  3. 김영훈(2010) 가시권 분석에서의 지형 요소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7(1): 73-84.
  4. 김용기, 김농오, 김성균, 김영빈, 박찬용, 신상섭, 안계복, 윤영활, 이상윤, 이재근, 정재훈, 홍광표(2004)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5. 김종하(2008) 부석사 주변의 전통경관 보전을 위한 경관규제도 작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4): 189-197.
  6. 김충식, 이재용, 김용모(2011) 누적가시도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의 산성 입지와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3): 12-21.
  7. 민경현(1982) 서석지를 중심으로 한 석문임천정원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1): 4-27.
  8. 박정욱(2001) 풍경을 담은 그릇, 정원. 파주: 서해문집.
  9. 박찬용, 현중영(2008) 전통마을 풍수의 프랙탈 구조에 관한 분석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29-34.
  10. 소현수(2009)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한국조경학회지37(1): 120-130.
  11. 신영철, 박영달(2006) 유형별 전통공간의 경관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54-68.
  12. 심우경, 김송아, 류경민, 최종희(2007) 융건릉 일원의 입지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65-75.
  13. 여창환, 장영진(2011)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의 적정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1): 40-48.
  14. 이도원(2005) 전통마을 경관요소들의 생태적 의미. 서울대학교 출판부.
  15. 이상복, 이승엽, 하재명(2009) 조망점 선정을 위한 가시빈도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8): 293-300.
  16. 이원호, 김재웅(2012) 조망루트 선정을 위한 가시권 분석의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787-796.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787
  17. 이재근(1992)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충호역(2009) 프랙탈기하학. Nigel L. G. and Ralph E., 파주: 김영사.
  19. 이혁종, 최기수(2009) 동림 속 동천의 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03-115.
  20. 정동오(1986) 전통적인 정자원림의 입지특성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5(1): 25-38.
  21. 정동오(1990) 동양조경문화사.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22. 정룡, 김정문(2006) 한.중 궁궐의 입지 및 삼조공간 구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38-50.
  23. 최기만, 이춘석, 임승빈(1997) GIS를 이용한 가시권정보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2): 31-42.
  24. 현영조, 이동근(2002) 풍수지리관점에서 본 생태공간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6): 49-63.
  25. Bolliger, J.(2005) Simulating complex landscapes with a generic model: Sensitivity 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lassifications. Ecological Complexity 2: 131-149. https://doi.org/10.1016/j.ecocom.2004.11.008
  26. Burrough, P. A. and R. A. Mcdonnel(1998)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7. De Floriani, L. and P. Magillo(1999) Intervisibility on Terrains, in Longley, P. A., Goodchild, M. F., Maguire, D. J., and Rhind, D. W. (Ed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Principles, Techniques, Management and Applications.
  28. Milne, B. T.(1991) Lessons from applying fractal models to landscape patterns. In: Turner, M. G., Gardner, R. H. (Eds.), Quantitative Methods in Landscape Ecology. Springer. pp. 199-235.
  29. Sprott, J. C., J. Bolliger and D. J. Mladenoff(2002) Self-organized criticality in forest: Landscape evolution. Physics Letters A. 297: 267-271. https://doi.org/10.1016/S0375-9601(02)0005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