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산광역시 명지주거단지 완충녹지가 거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sident Satisfaction Regarding Buffer Green Space at Meoyng-ji Multi-family Hous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 투고 : 2013.09.06
  • 심사 : 2013.10.24
  • 발행 : 2013.10.31

초록

주거지역의 완충녹지는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하나의 메커니즘인 동시에 거주생활 만족에도 중요하고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하는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거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계획적으로 완충녹지가 설치되어 있는 명지주거단지의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완충녹지가 가지고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거주생활 만족도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은 사회과학 통계 패기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명지주거단지 완충녹지의 역할은 주거쾌적성, 방재성, 녹지 이용성, 환경 생태성의 네 가지 요인으로 결정되었으며, 전체 누적 요인 기여율은 62.48% 중 주거쾌적성 기여율이 40.5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거주생활 만족도와는 주거 쾌적성과 녹지 이용성이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방재성과 환경 생태성은 유의확률이 각각 0.725와 0.898로 다중회귀분석의 선호요인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거 쾌적성과 녹지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완충녹지 조성이 거주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Buffer green space in the residential area is a mechanism for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lso significant for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and its various social role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effect of the buffer green space, which was established to minimize environmental influence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in Myeongji Residential Area where the buffer green space was installed, to examine the factors of the buffer green space and to analyze its causal relation with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nd factori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As a result, the roles of the buffer green space in Myeong-ji Residential Area included residential comfort, disaster protection, green space usability and environmental ecological property. In the overall accrued factorial contribution rate, residential comfort was very high with 40.54% out of total 62.48%. In addition, the residential comfort and green area usability had a higher correlation with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significant level of disaster protection and environmental ecological property were 0.725 and 0.898, respectively, which were not significant as a preference factor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ly, the buffer green space for improving residential comfort and green space usability was confirmed to enhance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공원녹지분야 업무협의 매뉴얼(2011)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
  2. 권상준(1993) 도시근린공원의 지역 경제적 효과분석. 국토계획 28(3): 179-197.
  3. 김귀곤(1994) 도시공원녹지의 계획.설계론-녹색 도시의 창출-. 서울대학교 출판부. p. 17.
  4. 김봉일, 이준영, 신동인(1992) 도시계획. 서울: 기문당.
  5. 김성욱, 정태열(2013) 한강시민공원 시설이용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0(2): 61-62.
  6. 김영용, 이경재, 최진우, 한봉호(2008) 도심 도로변 완충녹지의 주변 토지 이용을고려한 녹지기능 재설정 및 식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6(3): 40-41.
  7. 김유일, 김정규(2011) 도시 공원녹지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과 만족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6(1): 157-158, 168.
  8. 김유일, 김정규, 안진성, 최아현(2010) 도시공원․녹지의 시민만족도 모형. 한국조경학회지 38(3): 62-74.
  9. 김종엽(1999) 자연식생구조를 고려한 완충녹지 배식모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은영, 유병림(2004) 환경친화적 완충녹지의 기준설정. 한국조경학회지 32(2): 26-27.
  11. 송근준(1990) 조경식재 설계론. 서울: 한국조경학회. pp. 179-196.
  12. 신익순(2009) 조경법제론. 서울: 보문당.
  13. 심준영, 김유일, 이시영(2010) 공공서비스로서 도시공원녹지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3(2): 148-145.
  14. 이경재, 한봉호, 박현애, 최진우(2008) 해안 매립도시 완충녹지 조성현황과 기능향상을 위한 식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6): 692.
  15. 이우성(2000) 녹지의 기능적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 및 평가체계 구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5(5): 31-47.
  16. 이춘희(2007) 도시와 삶을 풍요롭게하는 공원 녹지. 파주: 조경.
  17. 장정찬(1986) 소음완화를 위한 도로변 완충녹지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환경부(2003) 환경친화적 완충녹지 기준설정 및 조성기법 개발. 환경부 보고서.

피인용 문헌

  1. Exploring Sustainable Street Tree Planting Patterns to Be Resistant against Fine Particles (PM2.5) vol.9, pp.10, 2017, https://doi.org/10.3390/su910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