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istotle's View on the Status of Women

여성의 위상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

  • Received : 2013.04.05
  • Accepted : 2013.05.16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Feminist critics have criticized Aristotle as a sexist, misogynist, male chauvinist or masculinist, or, at least, their chief spokesman. Indeed, he says in the Politics that the male is by nature superior to the female and, also, that women possess the same deliberative part of the soul as men, but without authority, etc. In the Generation of Animals, he claims that the male supplies the form and the efficient cause, whereas the female supplies the material cause only in reproduction and describes the female as a mutilated being. When these remarks of Aristotle are read without considering their overall context, it hardly seems possible for him to escape from such severe criticism and condemnation. On the contrary, in what follows, I shall claim that the criticism and condemnation that has been ascribed to him is unfair. Although it is undeniable that Aristotle has made such remarks, it does not immediately follow that he was a sexist. In particular, I shall show his view on the status of men and women by analysing the value of matter and form ascribed in two of his main philosophical theories, the theories of hylomorphism and four causes. In consequence, we shall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since the theories do not imply the significance or necessity of either form or matter alone, but of both, there is no sign of sexism or misogyny or male chauvinism in Aristotle.

여성주의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성차별주의자, 여성혐오주의자, 남성우월주의자, 또는 그들의 대변자라고 비판해왔다. 실제로 그는 "정치학"에서 남성이 본성적으로 여성보다 우월하다고 말하며, 또한 여성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영혼의 숙고 부분을 갖긴 하지만 권위가 없다고 말한다. 더구나 "동물생성론"에서, 그는 남성이 생식작용에 있어 형상과 작용인을 제공하지만 여성은 질료인만을 제공한다고 주장하고, 또한 여성을 결함을 가진 존재자로 묘사한다. 이러한 그의 이런 진술들만을 전반적인 문맥의 고려 없이 접하면, 그에게 부여된 혹독한 비평과 비난이 당연하게만 여겨진다. 하지만 논자는 이 논문에서 그에게 부여된 비평과 비난이 부당하다고 주장한다. 즉, 비록 아리스토텔레스가 그런 진술을 했음은 부정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가 성차별주의자라는 결론이 즉각적으로 따르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논자는 그의 핵심적인 철학이론들인 질료형상론과 4원인론에서 부여된 질료와 형상의 가치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남성과 여성의 위상에 대한 그의 견해를 보일 것이다. 그 결과, 우리는 그 이론들이 형상과 질료 가운데 어떤 한 가지만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함축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모두의 동등한 필요성을 함축하며, 따라서 그에게 성차별주의자의 혐의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