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학교 과학 우수아의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지구온난화 관련 의사결정 학습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Gifted Students'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Learning for Decision-Making about Global Warming Issues

  • 투고 : 2013.07.17
  • 심사 : 2013.08.27
  • 발행 : 2013.08.31

초록

효과적인 SSI 관련 의사결정 학습 방법의 모색을 위하여, 중학교 과학 우수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와 관련한 논쟁 상황을 주제로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 의사결정 학습을 진행하였다.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의사결정 학습은 (1) 교사가 제시하는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주도적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2) 협동학습을 통해 찬성과 반대의 주장과 근거를 공유하며, (3) 마지막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의사결정과정을 정리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지막 단계에서 이루어진 학생들의 의사결정 글쓰기를 분석하여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구온난화 관련 논쟁 상황의 분석 및 설명을 교사 강의로 진행한 그룹 A, 분석 자료를 정리하여 교사가 제공하고 소그룹 토의와 프리젠테이션 과정을 진행한 그룹 B를 대조 그룹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세 그룹의 수업 후 (1) 학생들의 의사결정 선택의 결과, (2) 학생들의 의사결정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의 수준, (3) 반성적 사고의 수준, (4) 과학의 본성을 포함한 과학적 정보의 활용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SSI 의사결정 학습이 학생들의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 보다 높은 수준의 논증구조, 보다 높은 수준의 반성적 사고, 과학적 정보에 대한 평가 및 해석,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학습의 결과, 학생들은 관련된 과학적 정보에 기반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의미있는 의사결정에 도달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eaching decision-making on Socio-Scientific-Issues(SSI) in science classroom. So we carried out new teaching and learning trial for decision-making about Global Warming issues. Our new trial focused on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learning in decision-making about SSI. And our participants were science gifted or science high-achieved students in middle school. We analysed students' written decision-making of the last process in our new trial. We can find our instruction made progress in informed decision-making, structure of argumentation, reflective thinking stage, using the scientific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s a result,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learning in decision-making on SSI leads students to the meaningful decision-making scientifically.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과학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Brian Hand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3. 박경빈, 권혁민 (2011).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1), 1-17.
  4. 박영태, 현정숙 (2002). 자기주도학습력의 이해. 부산: 동아대학교 출판부.
  5. 박은이, 홍훈기 (2011). 과학영재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견해의 주장형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1(1), 163-174.
  6. 박지영 (2009). 사회 속 과학 쟁점에 대한 소집단 논변활동의 이해: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의사소통 분위기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7. 배영주 (2005). 자기주도학습과 구성주의. 서울: 원미사.
  8. 손정우 (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33-355.
  9. 양운택 (1999). 평생학습사회와 자기주도적학습. 경기도 교육연구원.
  10. 윤미향 (2006). 과학의 본성에 따른 의사결정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1. 이순재 (2003). 사회과 쟁점중심 수업이 비판적 사고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이현주, 장현숙 (2007).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 도입 측면에서의 미국 주별 과학과 교육과정과 중등 과학교사의 인식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0(1), 189-209.
  1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4). 교육학 용어 사전. 서울: 하우동설.
  14. 최경희, 조희형 (2003).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수-학습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31-143.
  15. 한국과학교육학회 (2005). 과학교육학 용어 해설. 서울: 교육과학사.
  16. Bingle, W. H., & Gaskell, P. J. (1994). Scientific literacy for decisionmaking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Education, 78(2), 185-201. https://doi.org/10.1002/sce.3730780206
  17. Boyd, L. D. (2008). Development of reflective judgement in the pre-doctoral dental clinical curriculum. European Journal of Dental Education, 12(3), 149-158.
  18. Brookfield, S. (1993). Self-Directed Learning, Political Clarity, and the Critical Practice of Adult Education. Adult Education Quarterly, 43(4), 227-242. https://doi.org/10.1177/0741713693043004002
  19. Bruffee, K. A. (1993). Collaborative learning: higher education, interdependence, and the authority of knowledge.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 Driver, R., Leach, J., Millar,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21. Eming, J. (1977). Writing as a mode of learning.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28(2), 122-128. https://doi.org/10.2307/356095
  22. Grow, G. O. (1991). Teaching Learners To Be Self-Directed. Adult Education Quarterly, 41(3), 125-149. doi: 10.1177/0001848191041003001.
  23. Johnson, D. W., & Johnson, R. T. (1987).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on, competition, and individualization (2nd ed.). NJ: Prentice-Hall.
  24. Kagan, M., Kagan, L., & Kagan, S. (2007). 협동학습 [중앙기독교초등학교 협동학습 연구회 역]. 서울: 디모데. (원본출간년도 불명)
  25. King, P. M., & Kitchener, K. S. (1994). Developing reflective judgment: Understanding and promoting intellectual growth and critical thinking in adolescents and adults. San Francisco: Jossey-Bass.
  26. King, P. M.의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umich.edu/-refjudg/index.html (검색일: 2013. 8. 24)
  27. Knowles, M. S. (1980).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revised and updated). New York: Cambridge.
  28. Kuhn, D. (1991). The skills of argu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Osborne, J. (2005). The role of argument in science education. In K. Boersma, M. Goedhart, O. de Jong, & H. Eijkelhof (Eds.), Research and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pp. 367-380). Dordrecht: Springer.
  30. Ratcliffe, M. (1997). Pupil decision-making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within the science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2), 167-182. https://doi.org/10.1080/0950069970190203
  31. Sadler, T.D., & Zeidler, D.L. (2005). The Significance of Content Knowledge for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pplying Genetics Knowledge to Genetic Engineering Issues. Science Education, 89, 71-92. https://doi.org/10.1002/sce.20023
  32. Toulmin, S. E. (2006). 논변의 사용 [고현범, 임건태 역].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원본출간년도: 2003).
  33. Zeidler, D. L. (2003).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Boston: Kluwer Academic Pub.
  34. Zeidler, D. L., & Keefer, M. (2003). The role of moral reasoning and the statu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D. L. Zeidler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Boston: Kluwer Academic Pub.
  35. Zeidler, D. L., Sadler, T. D., Applebaum, S., & Callahan, B. E. (2009). Advancing reflective judgment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1), 74-101. doi: 10.1002/tea.20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