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과 실태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Open-Inquiry Activity and Field Survey

  • 투고 : 2013.04.18
  • 심사 : 2013.06.24
  • 발행 : 2013.06.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80명을 대상으로 자유탐구 경험과 운영 방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 실태를 알아보고자 19명의 실제 자유탐구 수행 모습을 관찰하고 수행 단계별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 응답 내용과 비교하였다. 설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과학영재 학생들은 평균 3.25회의 자유탐구 수행 경험을 갖고 있었으며, 개별 연구보다 소집단 연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제 선정 방안과 관련하여 교사의 개입보다는 개인이 원하는 주제로 자유탐구를 진행하기를 선호하였으며, 과학영재 학생들의 실제 자유탐구 수행 모습에서 학생들은 본인 스스로 처음부터 끝까지 탐구를 진행하는 데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open-inquiry activity. To conduct the research we worked with 80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 questionnaire was about the experience of the open-inquiry activity and the preference of the research methods. And also, we observed 19 gifted students of their open-inquiry activity and interviewed in each step. The answers were compared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gifted students in this study have average of 3.25 times of open-inquiry experiences, and they prefer the group investigation comparing with the individual project. In the method of selecting the subject, they prefer an autonomous selection rather than passive influence of the instructor. And they seem to give large meaning on the fact that they are operating the open-Inquiry by themselv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형 (2001). 중학생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문제해결 유형과 탐구수준 평가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6-75호 및 제 2007-79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서 III. 서울: 대한교과서.
  3. 김미숙 (2010). 한국의 영재교육: 영재교육 현황과 국가표준 정립 CRM 2010-109, 3-4. 한국교육개발원.
  4. 김재우, 오원근 (2002). 토론 및 자기 반성 과정을 통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탐구 문제 수정 과정에 대한 사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67-275.
  5.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조희형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자유탐구'에 대한 중등과학교사의 인식. 중등교육연구, 58(3), 213-235.
  6. 박미진, 이용섭 (2011). 과학영재학생의 학습동기와 과제집착력과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4), 961-977.
  7. 박재용, 이기영 (2011). 중학교 과학 자유 탐구 수행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603-632.
  8. 박재용, 이기영 (2012). 소집단 구성 방식이 자유 탐구 수행에 미치는 영향: 소집단 구성 방식을 달리한 두 중학교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686-702.
  9. 박종선 (2010). 초등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탐구주제의 유형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0. 변선미, 김현주 (2011).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 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10-224.
  11. 신영희 (2005). 중학교 과학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동기유형과 실패 내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2. 심재호, 신명경, 이선경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40-156.
  13. 이미순, 류가애 (2011). 초등 영재 및 일반 학생의 상대적 자율성에 대한 학습동기 연속체 관점. 초등교육연구, 24(1), 155-173.
  14. 이용섭, 박미진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자유탐구 방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1), 65-75.
  15. 임수진 (2009).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6. 전영석, 전민지 (2009).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17.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18. 정우경, 이준기, 오상욱 (2011).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중 주제선정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99-1213.
  19. 주영현, 최호성 (2012). 과학영재학생의 가치 특성 및 가치유형 간 상호 관계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2(3), 697-702.
  20. Catharina R. W., & 정현철 (2010). 영재교육의 기초. 서울: 한국교총영재교육원.
  21. Hudson, D. (2009).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cience: Language, Theories, Methods, History, Traditions and Values.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22. Sandoval, W. A. (2008). Explori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and Value of Inquiry? In R. A. Duschl & R. E. Grandy, (Eds.), Teaching Scientific Inquiry: Recommendation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pp. 157-163).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