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munity Business and Collective Learning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집합적 학습 -조력 집단에 대한 성찰-

  • Received : 2013.08.10
  • Accepted : 2013.09.11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Community Business is defined as profit-making enterprise for which a community residents can take to solve their own problems. It is comprised of some sequential activities: identifying problems, collective learning, organization. In rural South Korea,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promoting Community Businesses. However, the related policy programs are missing the very important perspective that self-help approach be essential in Community Business. Therefore, the policy programs should be changed so that they could effectively help community's autonomous practice.

이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개념 정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현장에서 지역사회 주민과 조력자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 근거해야 할 실천 윤리,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동의 과정적 요소에 관한 사례 분석, 관련 정책 사업의 문제점 등을 논의하였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주민들 스스로 실천하는 비즈니스 형식의 활동으로, 주민의 자발성에 기초한 '문제 제기-집합적 학습-조직화'의 과정적 요소로 이뤄진다. 현재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중간지원조직은 유연한 조력 활동이 아니라 정책 사업 관리의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정부의 관련 정책 사업은 주민들 스스로의 문제 제기와 학습이라는 선행 과정을 건너뛰어 충분한 준비 없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실천을 조장하는 측면도 있다. 관련된 정부 보조금 정책 사업의 틀이나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은 지역사회 주민들이 주도하는 과정에 유연하게 조력할 수 있도록 재편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화, & 김정명.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 교육프로그램의 탐색적 고찰;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보, 26(3), 517-535.
  2. 구자인, 유정규, 곽동원, & 최태영. (2011). 마을만들기, 진안군 10년의 경험과 시스템: 더디가도 제대로 가는 길. 국토연구원.
  3. 김선기.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 육성정책 추진실태와 정책방향. KRILA Focus, 제36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4. 김선기 등. (2009). 지역공동체 경영사업의 활성화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5. 김영민. (1999). 진리.일리.무리: 인식에서 성숙으로. 철학과현실사.
  6. 김윤호.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란 무엇인가?: 사회적기업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지방행정, 708, 30-35.
  7. 김정섭. (1999). 비판적 성인학습 이론의 비교분석: 프레이리, 메지로우, 웰튼의 논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정섭. (2009). 농촌개발사업 실행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역량강화의 관점에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3), 103-122.
  9. 김정섭. (2013a). 마을만들기의 풍경: 제도화와 민주적 학습 공동체. 한국자치학회 토요 공부모임 발표문(미간행물).
  10. 김정섭. (2013b). 중간지원조직, 중간지시/동원 조직이 되지 않아야. KREI 논단 5월 29일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www.krei.re.kr)
  11. 김정섭, 마상진, & 권인혜. (2009). 농촌개발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 강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김정섭, 박시현, 김영단, & 임지은. (2011). 농촌 지역 활성화 정책의 평가와 발전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김정섭, 조미형. (2013). 농어촌의 지역사회복지와 협동조합: 체계와 생활세계를 가로질러. 농어촌 복지와 협동조합: 복지 취약지대, 농어촌이 협동조합에 길을 묻다. 한국농어촌복지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한국농어촌복지연구회.
  14. 김재현. (2011). 한국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지역자원 활용 현황과 특징. 농정연구, 37, 177-211. 농정연구센터.
  15. 김태곤, 김정섭, 허주녕, & 김예슬.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 (2/3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 나주몽. (2012). 한국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책 추진 과정과 지역 차원의 문제. 지역개발연구, 44(1), 141-160.
  17. 네모토 마사쯔구. (2012). 도시 저개발 지역 주민요구에 기초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정책의 적용과 지역적 사회 안전망의 구축 가능성: 충북 청주시 '수암 골'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3(4), 201-224
  18. 미셀 푸코. (1995).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장은수 옮김. 민음사.
  19. 송미령, 박주영, 김정섭, 오형은, & 황정임. (2006). 농촌 지역혁신 사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 안혜원, & 이민규. (2010). 지역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도입 방안. 한국 행정학회 2010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21. 유정규. (2011). 농촌경제 활성화, 새로운 접근. 한국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 대안농정 대토론회 자료집. 국민농업포럼.
  22. 이상엽, & 정건섭.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자립형 지역공동체)의 발전방향 연구: 일본 제도와의 비교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15(2), 221-252.
  23. 이재호, 손찬희, 안성훈, 안경진, & 정광훈. (2013).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모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눈문지, 13(5), 506-516.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506
  24. 이홍택, & 정성훈.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발전: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 마을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708-720. https://doi.org/10.23841/egsk.2012.15.4.708
  25. 조규원, 최조순, & 김종수.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정책적 정당성. 도시행정학보, 24(1), 263-281.
  26. 주상현. (2012). 지방자치단체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사회적기업과 정책연구, 2(1), 1-39.
  27. 파울로 프레이리. (1995). 페다고지: 억눌린 자를 위한 교육. 성찬성 옮김. 한마당.
  28. 호소우치 노부타카. (2008). 우리 모두 주인공인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정일 옮김, 이매진.
  29. 행정안전부. (2013). 2013년 <마을기업>육성 시행지침. 행정안전부 지역발전정책국.
  30. 홍병선. (1931). 농촌사업과 기독교청년, 농촌문제특집. 동광, 제20호.
  31. 홍선. (2012). 주민 스스로 세워가는 마을 만들기와 커뮤니티 비즈니스. 도시문제, 47, 54-57.
  32. Fazzi, L. (2010). Social Co-operatives and Social Farming in Italy. Sociologia Ruralis, 51(2), 119-136.
  33. Gore, T., Powell, R., & Wells, P. (2006). The contribution of rural community business to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Local services for local people. Cahiers d'economie et sociologie rurales, No. 80, INRA.
  34. Habermas, W. (1984).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ranslated by Thomas McCarthy, Beacon Press.
  35. Romano, D. (1996). Endogenous Rural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A European Perspective. Center for International Food and Agricultural Policy.

Cited by

  1. The Rural Producers’ Organizations Experiences of Farmers vol.16, pp.2, 2015, https://doi.org/10.22284/qr.2015.16.2.135
  2. 농촌의 사회적 경제 조직, 실태와 과제 vol.23, pp.1, 2016, https://doi.org/10.12653/jecd.2016.23.1.0053
  3. Analysis of Learning in the Community Building Process:Implication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vol.29, pp.2, 2013, https://doi.org/10.17965/kjee.2016.29.2.173
  4. 농촌 지역사회개발의 학습단계와 주민역량강화 -자립형 농촌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vol.24, pp.1,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7.24.1.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