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aberrant movement that Gilles Deleuze wanted to describe represents 'unclosed' or 'unlimited' possibility; it also means that a being has unlimited virtual power until it turns into a thing. In this paper, I analyzed and classified "Dialogue Factual,"one of the animation films by Jan Svankmajer, based on the logical grounds by Gilles Deleuze.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seven characteristics in the experimental animation by Paul Wells, 'Dialogue Factual' has all of the features in the experimental animation, and, as I have found, the analysis through a comparison with Carl Dreyer's "The Passion of Joan Of Arc" indicates the works by Jan Svankmajer do not conform to Sensory-motor schemata. Such aberrant properties are involved with the time-image by Gilles Deleuze; by comparison with "Lavender Mist No. 1", one of the artworks by Jackson Pollock, it has been confirmed that "crystal image," the important concept of the time-image, is inherent in "Dialogue Factual". Lastly, the analysis of shots suggests that the movement-image and the time-image coexist in "Dialogue Factual". However, they are not to be classified by a clear-cut dichotomy.
질 들뢰즈(Gilles Deleuze)가 말하는 "일탈적 운동(aberrant movent)"은 '닫혀 있지 않은' 또는 '무한한' 가능성을 나타내며 존재(being)가 존재물(thing)로 드러내기까지의 무한한 잠재적(virtual)인 힘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들뢰즈의 논리를 바탕으로 얀 슈반크마이에르(Jan Svankmajer)의 애니메이션 중 하나인 <영원의 대화>(Dialogue Factual)를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그 결과 첫째, 폴 웰스(Paul Wells)의 실험 애니메이션의 일곱 가지 특성에 의거해 볼 때 <영원의 대화>가 실험적 애니메이션의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었으며 칼 드레이어의 <잔 다르크의 수난>과의 비교를 통한 작품 분석에서는 얀 슈반크 마이에르의 작품이 감각운동 도식에 순응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일탈성은 들뢰즈의 시간-이미지(the time-image)와 관련 되어 있으며 시간-이미지의 중요 개념인 "수정 이미지"가 <영원의 대화>에 내재되어 있음을 잭슨 폴락의 작품인 <연보라빛 안개 넘버1>(Lavender Mist Number 1)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쇼트 분석을 통해 <영원의 대화>에 운동-이미지(the movement-image)와 시간-이미지가 공존함을 알 수 있었으나 그 둘은 정확한 이분법으로의 분류가 불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