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the Evaluation of Old Dwelling Façade Design Factor

  • Park, Jin-A (Advanced Building Research Division, Building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Received : 2013.06.06
  • Accepted : 2013.08.19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facade design factors of old dwellings using a Fuzzy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based on a pairwise comparison analysis using "Façade Design Factors" as evaluation criteria. Traditional old dwellings were presented and evaluated. A Fuzzy AHP based model was used for pairwise comparison of traditional old dwellings, whereby seven criteria and nine alternatives were describ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constructional data. The Fuzzy AHP was us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facade design factors, because "Traditional" old dwellings are identified by the combination of their facade design factors. Furthermore, the fuzzy AHP is used to verify the feasibility and efficiency of this approach as well as for extent analysis to comprehend the priority of the traditional old dwellings using a sensibility measuring scale.

생활양식이나 형태 변화에 따른 전통적인 주거건축들의 전통성, 공공성과 사유권의 균형, 계승 발전, 보존에 부가되는 공동체의 활성화와 효용성 등 환경 개선이라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들 역사 경관 권역의 경관훼손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적 경관의 고유한 특성과 다양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속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평가"에 영향을 미친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입면디자인 평가척도 (지붕, 창호, 기둥, 벽면, 마루, 주초석, 기단)를 기준으로 쌍대비교를 실시하여 도출된 Synthetic Evaluation Value를 Fuzzy 방법을 통해 Fuzzy Integral (Choquet Integral) value를 추정하여, 가치속성을 규명하였다. 속성 간 가중치 산정결과에 ${\lambda}$-value를 이용하여 Sensitivity Analysis를 실시하여 유효함을 검증하였다. 전통적 주거건축의 입면디자인 평가에 영향을 미친 가치속성을 추정하는데 있어 유의미한 방법론이며, 복합 가치속성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