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condary Drying Effects on Garlic Quality after Low Temperature Storage

마늘의 저온저장 후 2차 건조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Ning, Xiao Feng (Dept. of Agricultural Mechanization Engineering, Shenyang Agricultural University) ;
  • Kang, Tae Hwan (Major in Bio-Industry Mechanic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ng Won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AS) ;
  • Han, Chung Su (Dept. of Biosystems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녕효봉 (선양농업대학교 농업기계학과) ;
  • 강태환 (공주대학교 생물생산기계공학전공) ;
  • 박종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 한충수 (충북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2.10.15
  • Accepted : 2013.02.05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condary drying effects on garlic quality, and to define the optimal secondary drying conditions for garlic preservation. The secondary drying tests used garlic that was naturally dried once and stored at low temperature. After secondary drying, the garlic was stored in a warehouse at room temperature. Tests were performed at different low-temperature storage periods (60, 105, 150, 195, and 240 days), secondary drying temperatures (35 and $40^{\circ}C$), drying times (1, 2, 3 days), and room temperature storage periods (15, 30, and 45 day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a non-secondary drying condition control. In general, the $40^{\circ}C$-2 days dry conditions showed the lowest weight-loss rate (5%) and rotting rate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The sprouting rate increased by 20% during the initial 15 day-room temperature storage, along with a small increase after 30 days of room temperature storage. Increases in drying temperature and the period of secondary drying conditions caused a decrease in firmness. In addition, the sprouting rate was 10% higher, and rotting rate 5~10% higher, for the non-drying condition, compared to drying conditions. Based on our results, the $40^{\circ}C$-2 days drying condition is the optimal secondary drying condition for garlic storage.

마늘은 일반적으로 $0{\sim}-4^{\circ}C$의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저온저장 후 상온보관 시 마늘은 휴면이 일직 타파되고 생육이 촉진되어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저장온도가 낮고 상온과의 온도 차이로 마늘의 표면에 결로가 생기며, 이 결로로 인해 발생된 수분이 마늘의 미생물 생장을 촉진시켜 부패율 증가에 큰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저온저장 후 상온유통 시 후처리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저온저장 후 건조처리 방법에 따라 상온 보관성 향상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적정저장 및 2차 건조조건을 확립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마늘의 중량감소율은 2차 건조조건에 따라 $40^{\circ}C$ 2일 건조조건에서 2.5~4.1%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2차 건조 후 상온보관에 따른 마늘의 중량감소율은 $40^{\circ}C$ 2일 건조조건에서 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차 건조 후 상온보관 기간에 따른 마늘의 맹아율은 상온보관 15일까지 20%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0일 이후부터는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건조조건에 따른 마늘의 맹아율은 건조하지 않은 조건에서 그 증가폭이 10%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2차 건조조건 중 $35^{\circ}C$ 3일과 $40^{\circ}C$ 2일 건조조건에서의 맹아 생장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저장 후 2차 건조조건에 따른 마늘의 부패율 변화는 저온저장 후 2차 건조하지 않은 조건에서 부패율이 5~10% 높았으며, $40^{\circ}C$ 2일 건조조건에서의 부패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저장 후 상온보관에 따른 마늘의 경도변화는 저온저장 후 2차 건조를 수행하지 않은 조건에서 그 변화 폭이 20~50 gf 크게 나타났고, 2차 건조 후 상온보관에 따른 마늘의 경도 감소는 $35^{\circ}C$ 2일과 $40^{\circ}C$ 2일 건조조건에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의 저온저장 후 상온보관 시 적정조건은 저온저장 직후 2차 건조를 하며, 2차 건조조건 중 $40^{\circ}C$ 2일 동안 건조하는 것이 마늘의 고품질 유지를 위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Kwon JH, Chung HW, Lee J, Park NY, Lee GD, Kim JS. 1999.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stability of garlic bulb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137-142.
  2. Bae RN, Choi SY, Hong YP. 2008. The quality of northern and southern ecotype garlic bulbs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Preserv 15: 635-641.
  3. Cho JG. 2008. Garlic and health.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7: 2-8.
  4. Statistics Korea.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5. Nam GB, Jeong MC, Kim DC, Kim BS, Lee SE. 1995. Quality changes and freshness prolongations of garlic by pretrying treatments. J Korean Soc Agr Chem Biotechnol 38: 334-339.
  6. Hwang TY, Park YJ, Moon KD. 2005. Effected of ozonewater washing on the quality of melon. Korean J Food Preserv 12: 252-256.
  7. Bae RN, Yun SD, Ahn YK, Mok IG, Lim CI. 2002. Differences in plant growth and bulb development as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s of two garlic (Allium sativum L.) cultivates. Kor J Hort Sci Technol 20: 95-99.
  8. Woo IS. 1997. Effects of ozone during storage period garlic. Kor J Hort Sci Technol 15: 229-230.
  9. Kang TH, Hong HK, Jeon HY, Han CS. 2011. Drying characteristics of squids according to far infrared and heated air drying conditions. J Biosystems Eng 36: 109-115. https://doi.org/10.5307/JBE.2011.36.2.109
  10. Li H. 2009. Dry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using far infrared rays. PhD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p 23.
  11. Oh HJ, Lee GM, Kim YY. 2000. Garlic pre-drying establish methods and storage temperatures. Research Report of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Iksan, Korea. p 55-58.
  12. Ryu HJ, Choi EJ, Oh MS. 2004.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opped garlic with various storage method. J Korean Home Economics 42: 167-180.

Cited by

  1. Evalu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Frozen Chopped Garlic vol.44, pp.1, 2015, https://doi.org/10.3746/jkfn.2015.44.1.111
  2. 지황 종근의 저장성 및 수량에 미치는 음건 처리의 효과 vol.26, pp.4, 2013, https://doi.org/10.7783/kjmcs.2018.26.4.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