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웹 기반 마이크로티칭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eb Based Micro-teaching system

  • 투고 : 2013.06.04
  • 심사 : 2013.07.30
  • 발행 : 2013.09.28

초록

마이크로티칭은 교사들의 모의수업을 녹화한 후 피드백 평가 성찰의 과정을 통하여 수업 스킬을 개선하도록 돕는 교수-학습방법이다. 마이크로티칭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티칭을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시간적 물리적 부담을 줄이고, 더욱 의미 있는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마이크로티칭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통해 마이크로티칭 동영상을 공유하고, 전체 절차와 단계별 활동을 구조화할 수 있으며, 수업 계획서 업로드 체크리스트 등을 통해 마이크로티칭 활동이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피드백을 원하는 시점에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였다. 이 시스템은 교사들의 수업스킬 증진뿐만 아니라 프레젠테이션, 면접 스킬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icro-teaching is one of instructional methods to improve teaching skills whereby teachers present short sessions and receive feedbacks on their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the web based micro-teaching system for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eacher training by placing videotaped session and peer feedbacks near rather than far from each other on the screen.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micro-teaching system, and interviewed pre-service teachers to find some suggestions. Based on this analysis, we drew design principles and developed web based micro-teaching system, which helps teachers to plan instructional strategies, to reflect teaching skills, and to participate in peer assessment. We hope that the system will be useful to not only teacher training but also other fields such as presentation or interview skill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충훈, 조흥순, "'교직실무' 교재내용 분석 및 교재 집필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 9호, pp.512-521, 2012.
  2.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교육 수업 설계 모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467-48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467
  3. 박수경, 김상달, 조주환, "마이크로티칭 방식의 수업장학의 지구과학과 교육실습생의 수업기술에 미치는 효과: 질문기술과 피이드백 기술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제13권, 제3호, pp.269-283, 1992.
  4. 박정환, 정동욱, "예비교사의 수업기술 향상을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활용 모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45-71, 2009.
  5. 서윤경,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와 운영 전략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4호, pp.271-297, 2009.
  6. 조영남, "마이크로티칭과 초등 예비교사교육: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pp.65-85, 2011.
  7. 주삼환, 장학의 이론과 기법, 학지사, 2003.
  8. 황윤환, "21세기 초등학교 교육에 대처하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새 패러다임", 2000학년도 한국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교육학회, pp.229-261, 2000.
  9. 황윤환, "교육대학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실천 방안: 광주교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301-333, 2008.
  10. Greg C. Lee and C. C. Wu, "Enhancing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use of videos in web-base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Vol.43, No.4, pp.369-380, 2006. https://doi.org/10.1080/14703290600973836
  11. Gulten Kavas and Nesrin Ozdener, "Effects of Video-Supported Web-Based Peer Assessment on Microteaching Applications: Computer Teacher Candidates Sample," Creative Education, Vol.3, No.7, pp.1221-1230, 2012. https://doi.org/10.4236/ce.2012.37181
  12. Zehavit Kohen, and Bracha Kramarski, "Developing Self-Regulation by Using Refl ective Support in a Video-Digital Microteaching Environment," Education Research International, Vol.2012, pp.1-1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