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oRe-based Density Unit Lesson on Conceptual Formation and Class Satisfaction

CoRe에 기반한 밀도 개념 수업이 개념형성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3.04.05
  • Accepted : 2013.05.23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oRe-based density unit class on conceptual formation and on learne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For this study, two hundred and forty 8th grade students were chosen from six classe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a CoRe-based density unit lesson, and a control group, which was taught based o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e CoRe-based density unit classes consisted of 4 period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on CoRe about density. The results showed the meaningfu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Re-based classes and the classes based o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both in the posttest on the extent of the conceptual formation on the density and in the retention test. The difference suggests that the lesson with CoRe i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students face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students themselves, teachers, learning environment, evaluation, etc. during their learning process and even in the types of preconception they have, and the CoRe-based lesson is centered around the best teaching strategies to solve such difficul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experimental group's class satisfaction, it i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attitudes related science or with a high level of science achievement showed especially high satisfaction in their learning.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got the opportunity through CoRe-based lesson to stretch their thoughts and ideas in a free way and preferred a teaching method which didn't just show the concept, but allowed them to find it for themselves or which let them predict the solution and then confirm the result on their own and a lesson which encourag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CoRe에 기반한 밀도 개념 수업이 개념형성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6개 학급 240명을 각각 120명씩 2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CoRe에 기반한 밀도 개념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전통적 학습방법에 의한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 간 개념형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CoRe에 기반한 밀도 개념 수업은 기존에 밀도에 관해 연구된 CoRe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4차시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밀도 개념형성 정도에 대한 사후검사와 파지검사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CoRe에 기반한 수업이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의 선수 개념이나 밀도와 관련된 오인에 연계된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 스스로 예측, 관찰, 설명, 추론 등의 탐구 활동을 하도록 안내하며 학습과정에서 학생, 수업환경, 평가 등 다양한 측면의 어려움과 한계점을 인식하고 이를 최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수업전략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또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과학관련 태도 수준이 높거나 과학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들에게서 높은 수업만족도를 보였다. 설문 조사 결과, 실험집단은 CoRe에 기반한 수업을 통해 다양한 생각을 할 기회가 있었으며, 개념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찾아가는 방식과 예측해보고 결과를 확인하는 수업 방식, 그리고 학생 스스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한 점 등을 통하여 긍정적인 만족도를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