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관리체계 도입의 필요성 고찰 (특허정보제공 기업을 중심으로)

  • 강윤철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경영학과) ;
  • 임성택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경영학과)
  • 발행 : 2013.08.31

초록

영업비밀 관련 또는 특허문제로 소송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요즘 특허 전쟁에 있어서도 해당 정보를 적절하게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한 특허정보 관리체계에 있어서의 정보보안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해 기업 전반에 걸쳐 인지될 필요성 또한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방안으로 국제인증 기준이 떠오르고 있다. 각종 정보보호의 중요성에 따른 기업 관리시스템들이 이러한 인증체계를 도입 및 운영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뒷받침 해주기 위해 특허법을 비롯하여 관련 컴플라이언스를 준수하기 위한 개인정보보호법(안전성 확보조치),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과 같은 정보보호 법률을 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다. 사례 기업에서는 이 중 정보보호 국제인증의 대표격인 ISO27001을 바탕으로 현재 특허관련 기업에 필요한 정보보호관리체계를 정립 및 적용하였다. 해당 정보보호 관리체계는 특허관련 업무분장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기술적, 관리적, 물리적 보안에 대한 부적합사항을 충족시키고 특허정보보호업무, 감사업무, 검사업무, 전산운영 등 분산된 업무를 일관된 업무로 통합하는 효과적인 관리체계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키워드

참고문헌

  1. 1 35p, 금융시스템에 대한 인증제도의 필요성, 마이크로소프트웨어 2013년 4월호, 박성갑
  2. 15p,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코빗 - COBIT 4.1을 중심으로, 2010. 04. 17, 조희준
  3. 43p, 정보보호 관련 주요 법령 목록, 2013 국거정보 보호백서
  4. 국가법령센터 http://www.law.go.kr
  5. 특허청 http://www.kipo.go.kr
  6.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인증제도 해설서 (KISA)
  7. ISO/IEC27001:2005 Requirement
  8. 120p, 법 제도에 따른 정보보안 인증제도 현황, 마이크로소프트웨어 2013년 4월호, 강윤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