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Evaluation of Renal Function According to Set a Partial Region of Interest in 99mTc-DMSA scan of the Pediatric Patient with a Duplicated Ureter

중복요관을 가진 소아환자의 99mTc-DMSA 검사에서 부분적 관심영역 설정에 따른 신기능 평가에 관한 연구

  • Nam-Koong, Hyu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care System,) ;
  • Oh, Shin Hy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care System,) ;
  • Kim, Jung Yu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care System,) ;
  • Choi, Yoon J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care System,) ;
  • Kim, Jae Sam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care System,) ;
  • Lee, Chang H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care System,)
  • 남궁혁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
  • 오신현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
  • 김정열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
  • 최윤정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
  • 김재삼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
  • 이창호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13.02.06
  • Accepted : 2013.04.04
  • Published : 2013.04.27

Abstract

Purpose: A duplicated ureter is congenital renal malformations with ureter in two. Patients with duplicated ureter are in force to $^{99m}Tc-DMSA$ scan at surgery before and after. In existing examination, at produce result after $^{99m}Tc-DMSA$ scan, didn't compare to upper pole and lower pole with malformed kidney and compared to only relative uptake ratio.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about utility of set a partial region of interest and to functional recovery of renal cell through change of upper pole uptake ratio of malformed kidney by setting each partial region of interest in upper pole and lower pole of malformed kidney in $^{99m}Tc-DMSA$ examination in surgery before and after. Materials and Methods: Pediatric patients with malformed kidney of incomplete duplicated ureter, 15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canning were scan 3 to 4 hours after injection of $^{99m}Tc-DMSA$ 1.5 ~ 1.9 MBq/kg. Region of interest were each set in normal kidney, upper pole and lower pole with malformed kidney. Region of interest were set with same condition and method to images of surgery before and after that radio technologist 1 person, resident of nuclear medicine 1 person and doctor of urology together. Therefore, this study were compared to uptake ratio (A: B: C) that normal kidney (A), lower pole of malformed kidney (B) and upper pole of malformed kidney (C) about uptake ratio changes of malformed kidney in follow-up examination of surgery before and after. Results: When compared to 15 patients, uptake ratios were increased 7 persons and decreased 8 persons. Among increased 7 persons, it were periods of follow-up examination that 2 persons were 14 months, 4 persons were 12 months and 1 person was 8 months after surgery. Among decreased 8 persons, it were periods of follow-up examination that 4 persons were 12 months 3 persons were 6 months and 1 persons were 4 months after surgery. Conclusion: Existing study could not see the exact uptake ratio changes of malformed kidney because using only the overall Left-Right kidney uptake ratios. But a setting partial region of interest was able to see exactly what changes in the uptake of each upper pole and lower pole of malformed kidney. Because recovery of renal parenchymal cells is difficult in an evaluation of short period of time, follow-up examination should be made in long period of time. How to set up partial region of interest be thought that it would be useful.

중복요관은 요관이 두 개가 있는 선천성 신장 기형이다. 본원에서는 기형이 있는 신장 상극신의 중복요관을 하극신의 정상 요관에 연결시켜 신기능을 유지시키고자 하는 수술을 시행하고 있고, 수술 전과 후에 $^{99m}Tc-DMSA$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기존에는 검사 후 관심영역 설정 후 결과 도출 시에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과 하극신의 비교가 이루어지지 않고 정상 신장에 대한 기형이 있는 쪽 신장의 전체적인 상대적 섭취율만의 비교가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수술 전과 후의 $^{99m}Tc-DMSA$ 검사 후 관심영역 설정 시에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과 하극신에 부분적인 관심영역을 각각 설정하여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 섭취율 변화를 통해 신실질 세포의 기능 회복 정도와 부분 관심영역 설정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불완전중복요관의 기형을 가지고 수술 예정인 소아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는 $^{99m}Tc-DMSA$를 1.5~1.9 MBq/kg 주사하고, 3~4시간 후에 검사하였고, 정상신장과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과 하극신의 관심영역을 각각 설정하였다. 관심영역은 방사선사 1명, 핵의학과 전공의 1명, 비뇨기과 전문의 1명이 동석하여 수술 전 영상과 수술 후 영상을 같은 조건과 방법으로 설정하였다. 수술 전과 후의 추적검사에서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 섭취율의 변화에 대해 정상신장(A), 기형이 있는 신장의 하극신(B), 상극신(C)의 섭취율비(A: B: C)를 통하여 비교해 보았다. 15명의 소아 환자에서 수술 전과 후의 기형이 있는 신장의 상극신 섭취율의 변화에 대해 정상신장(A), 기형이 있는 신장의 하극신(B), 상극신(C)의 섭취율비(A: B: C)를 통하여 비교해본 결과로 섭취율이 향상된 환자가 7명, 저하된 환자가 8명 이었다. 섭취율이 향상된 환자 7명중 2명은 수술 후 14개월, 4명은 12개월, 나머지 1명은 8개월 후에 추적검사를 하였고, 저하된 환자 8명중 4명은 수술 후 12개월, 3명은 6개월, 나머지 1명은 4개월 후에 추적검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는 전체적인 좌.우 신장의 섭취율만을 이용하여 기형이 있는 신장의 정확한 섭취율 변화를 알아 볼 수 없었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부분적인 관심영역 설정방법을 이용하여 상극신과 하극신 각각의 섭취율 변화를 정확히 알아볼 수 있었다. 신장의 신실질 세포의 회복은 단기간에 평가를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단기간의 추적검사를 통해서 기형이 있는 신장의 예후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장기간의 추적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부분적인 관심영역 설정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