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예술통합 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Perceptions of Elementary Teachers on Teaching Science-Arts Integrated Activities

  • 투고 : 2013.06.08
  • 심사 : 2013.07.11
  • 발행 : 2013.08.30

초록

본 연구는 과학-예술통합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초등 교사들의 과학-예술통합 활동에 대한 인식과 수업의 접근법, 어려움 및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을 담당하는 교사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면담 시간은 60분에서 90분으로 이루어졌다. 면담은 연구 참여자의 과학-예술통합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에서의 목표 및 강조점, 어려움 및 개선방안 등을 물어보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초등 교사들은 과학-예술통합 수업이 과학 개념의 재정리, 긍정적인 태도 향상, 적극적인 수업 참여 유도, 자유로운 의사표현의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접근법에서는 교사들은 과학 개념의 재정리, 추상적 과학 개념의 시각화, 예술 과목과의 연계의 세 가지 측면에서 과학-예술통합 활동을 수업에 적용하고 있었다. 한편 초등 교사들은 수업 자료의 부족과 외부 환경의 제약, 학생간의 편차로 인해 과학-예술통합 활동을 활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은 다양한 수업 자료의 보충 및 교사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요구로 이어졌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교육에서 과학-예술통합 수업에 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teachers on teaching science-arts integrated activities. Twelve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taught in the third to sixth grade science less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lasting 60 to 90 minutes. Interview questions were composed of three aspects: 1) how elementary teachers perceive science-arts integrated activities, 2) in what ways elementary teachers address science-arts integrated activities, and 3) what difficulties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d in addressing science-arts integrated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elementary teachers agreed that science-arts integrated activities have educational value in science learning. Second, most teachers focused on improving understanding of science knowledge through teaching science-arts integrated activities, while several teachers put emphasis on having experience of arts as well as understanding of science knowledge. And third,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in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and time to prepare for teaching science-arts integrated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utilization of science-arts integrated activities in elementary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 권난주, 안재홍(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3. 권영식(2012). 과학영재의 창의적 두뇌 활성화를 위한 과학과 미술 통합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 금영충, 배선아(2012). STEAM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57-75.
  5. 김정선, 박남정, 박정유, 연혜경, 이은영(2009). 교과와 미술 통합 수업에서의 예술적 특성. 예술교육, 35, 79-111.
  6. 김정희(2004). 미술영재교육을 위한 예술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18(2), 65-86.
  7. 김정희(2008). 초중등학교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개발 연구: 교과-예술통합형 문화예술교육 교안 개발 매뉴얼. 인천: 인천문화재단.
  8.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1999). 과학교육학개론. 서울:북스힐.
  9. 문지영, 송주연, 김성원(2012).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예술통합 활동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90-902.
  10. 박승재, 임성민, 김희백, 박종윤, 유준희, 윤진, 전우수(2002). 초중등학생의 과학선호도 증진 정책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용역 보고서.
  11. 송인섭, 문은식, 하주현, 한수연, 성은현(2010).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재교육학회, 9(3), 117-138.
  12. 신영준, 한선관(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514-523.
  13. 윤혜경, 라지연, 장병기(2004). 초등학교 과학 연극 수업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02-915.
  14. 이미경(2011). 미국의 예술통합교육과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한국교육, 38(3), 33-52.
  15. 이미경, 김경희 (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16.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 (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17. 정신애, 권난주(2008).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과학동시를 활용하는 전략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14-822.
  18. 태진미(2010).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통합교육의 필요성과 적용방안.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6, 241-273.
  19. 한윤이(2006). 음악과 교육과정 중심의 교과 간 통합지도 방안. 초등교과교육연구, 7, 71-90.
  20. Bamford, A. (2006). The wow factor: global research compendium on the impact of the arts in education. (백령 역).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세계 예술 교육 현장 리포트. 파주: 한길아트.
  21. Carey, N., & Shavelson, R. (1988). Outcomes, achievement, participation, and attitudes. In R. J. Shavelson, L. M. McDonnell, & J. Oakes (Eds.), Indicators for monitoring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pp.147-191). Los Angeles, CA:Rand Corporation.
  22. DeMoss, K., & Morris, T. (2002). How arts integration supports student learning: Students shed light on the connections. Chicago, IL: Chicago Arts Partnerships in Education (CAPE).
  23. Maes, B. (2010). Stop talking about" STEM"education! "TEAMS"is way cooler. http://bertmaes.wordpress.com/ 2010/10/21/teams/
  24.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5. Russell, J., & Zembylas, M. (2007). Arts integration in the curriculum: a review of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L. Bresler(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Arts Education. (pp.287-302) Springer.

피인용 문헌

  1. Characteristics of Science Imaginary Pictures Draw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Imaginary Drawing vol.33, pp.1,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1.057
  2. The Influences of Pair Activity 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Imaginary Pictures Draw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Imaginary Drawing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