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rivate Security for Park Safety

공원안전관리를 위한 민간경비 활용방안 연구

  • Received : 2013.01.30
  • Accepted : 2013.03.05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e idea of this study was derived from awareness of local governments and police's limitation on attempts to 'creating safe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political measures of preventing various types of possible crimes in the park and the limitation of those policies.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possible explanations to utilize Private Security Sector for the effective and continuous way of managing park safety by considering legal and practical solutions and its expectations. The methods of analysis used in this study are, first, literature review of current park safety management policies. Second, this article examined implications of strategies of those policies throughout the case study of the USA's park safety policy. Third, this study suggested plans of action and role of Private Security Sector to improve park safety. The results present several arguments for the park safety. First, legislation of mandatory crime preventing programme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ing park is required. Introducing the 'park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to the major parks for a immediate response to the crime can be one of suggestions. Moreover, proactive police response systems, such as one of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s policies- 'returning safe parks to a citizen' are required. Second, the case study of the USA regarding park safety confirmed that major parks in the USA have rigorous and detailed park regulations. It also showed that those parks take not only preventing measures, but also follow-up measures against crimes. Third, the results suggest creating human resources by contracting out Park Managers and Private Security Sector that have specialized experiences and techniques to prevent crimes and public disorders. Overall in this study, increased citizen's satisfaction level, control of continuous and systematic crimes, the spread of joint-production of public safety, and increased fields of the Private Security Sector are expected from the findings.

이 연구는 '안전한 공원조성'을 위한 노력들이 공원관리주체인 지방자치단체와 경찰에 의해서만 달성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공원에서 발생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형태의 범죄에 대한 예방 및 대응전략에 관한 최근의 정책동향과 그 한계를 고찰하고 보다 근본적인 공원안전관리방안을 실효적이고 지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방안으로 민간경비의 활용방안에 대한 법률적, 실천적 방안과 기대효과를 검토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자료수집의 분석을 통해 공원안전관리정책의 최근 동향을 고찰하였다. 둘째, 미국의 공원안전을 위한 정책과 관련된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 공원범죄예방의 추진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서술적 방법으로 공원안전을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과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원안전을 위한 최근의 정책으로는 공원조성단계에서부터 범죄예방계획을 의무화하는 입법과 주요 공원에 대한 범죄 및 안전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위한 공원 특별사법경찰제도의 도입, 서울지방경찰청에서 실시하는 안전한 공원을 시민에게 돌려주기 위한 적극적인 경찰대응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례연구를 통해 미국의 주요공원들은 공원안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구체적이고 엄격한 공원규칙을 제정하고, 공원경찰을 중심으로 인력을 통한 적극적인 예방 및 사후조치를 강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민간경비의 활용방안으로는 공원관리자와 민간경비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안전관리에 투입되는 자원을 선별하고, 전문적인 범죄 및 무질서 예방과 사후조치에 대한 경험과 기술을 활용하자는 것이다. 기대되는 효과로는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만족도 증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범죄의 사전예방, 치안공동생산의 확산과 더불어 민간경비 활동영역의 증대 등을 들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