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판 전복박리제의 박리 효과

Exfoliation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y commercial exfoliating reagents

  • 김위식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 강민호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 김종오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 이시우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 김정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 황두진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 오명주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Kim, Wi-Sik (The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ang, Min-Ho (Department of Aqualife Medicine,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Oh (Department of Aqualife Medicine,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i-Woo (The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ung (The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Hwang, Doo-Jin (The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Oh, Myung-Joo (Department of Aqualife Medicine,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3.07.24
  • 심사 : 2013.08.08
  • 발행 : 2013.08.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전복박리제 3종 (제품 A, B, C)을 사용하여 박리 효과를 평가하였다. 제품 A (주성분: 구연산, 비타민 C), B (허브), C (니코틴아마이드) 및 대조구인 옥시테트라사이클린 (Oxytetracycline, OTC)은 6-31.25 g/L과 12-37.5 g/L의 농도에서 각각 81.2-84.8%와 90.3-95%의 박리율을 보였고, 위의 박리농도에서 제품 C를 제외 (OTC보다 회복 시간이 약 3-5분 늦음)하고는 회복시간이 OTC와 유사하였다. 시판용 전복박리제의 노출시간 (5-20초)에 따른 전복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OTC에 노출된 전복은 시판용 박리제에 노출된 전복보다 회복시간이 약간 빠르게 나타났으며 (회복시간의 차이: 12분 38초 이내), 제품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또는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회복이 늦어졌다. 폐사율을 관찰한 결과에서는 단지 제품 B (농도: 20 g/L, 노출시간: 5초)와 제품 C (농도: 12 g/L, 노출시간: 10초, 20초)에서 각 3.3% (1/30 마리)의 폐사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시판용 박리제에 처리된 전복은 OTC에 처리된 전복보다 회복하는데 시간이 약간 더 소요되지만 전복 박리 효과는 서로 유사하기 때문에, 양식현장에서 시판용 박리제들은 OTC를 대신해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ree commercial exfoliating reagents, product A (main components: citric acid and vitamin C), B (herb) and C (nicotinamide), were used to study their exfoliation effect on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from the substrate. The exfoliating reagents A, B, C and oxytetracycline (OTC, control) of 6-31.25 g/L and 12-37.5 g/L exfoliated 81.2-84.8% and 90.3-95% of abalone, respectively. Post-treatment recovery time for the abalone was similar for all the reagents except product C. Recovery period for the abalone immersed in OTC for 5-20 second was slightly shorter than the reagents A, B and C; however, no mortality was observed in any group except with the reagents B (concentration: 20 g/L, immersion time: 5 sec) and C (12 g/L, 10 and 20 sec) that showed negligible mortality of 3.3%. Higher concentration and longer treatment with the reagents resulted in longer recovery time of the detached abalone. Although abalone exposed to the reagents needs slightly longer time to recover than that to OTC, the exfoliation effect is much simila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mercial exfoliating reagents can replace OTC to detach abalone, though they need to be cautiously handled.

키워드

참고문헌

  1. White, H.I., Hecht, T. and Potgieter, B.: The effect of four anaesthetics on Haliotis midue and their suitability for application in commercial abalone culture. Aquaculture, 140:145-151, 1996. https://doi.org/10.1016/0044-8486(95)01185-4
  2. 相良 順一郎, 二宮 直尚: 酔剤によるアワビ稚貝の付着面からのはく離について. 養殖硏報, 17: 89-95, 1969.
  3. 杉山 元産, 田中 彌太郎: 炭酸ガス痲酔によるアワビ稚貝の剥離について. 養殖硏報, 3:37-44, 1981.
  4. 김위식, 김 정, 황두진, 한종석, 이시우, 최동익, 임상민, 오명주: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전복박리 성분. 한국어병학회지, 25:123-126, 2012. https://doi.org/10.7847/jfp.2012.25.2.123
  5. 김위식, 이시우, 김 정, 최동익, 오명주, 황두진: 유기산을 이용한 전복박리. 한국어병학회지, 26: 51-56, 2013. https://doi.org/10.7847/jfp.2012.26.1.051
  6. 노 섬: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의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7-101, 1988.
  7. 최상덕, 김호진, 서해립, 서호영, 양문호, 황성일: 양식산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에 대한 리도카인 및 MS-222의 박리효과. 한국어병학회지, 11:35-41, 1998.
  8. 최상덕, 정성채, 김호진, 공용근, 백재민, 최규정: 온도 구간별 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과 담수에 의한 양식산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박리 및 마취회복에 관한 연구. 한국양식학회지, 10:281-288, 1997.
  9.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011.
  10. 한석중, 김봉래, 원승환, 김재우: 농업용 요소비료를 이용한 까막전복, Haliotis discus Reeve 마취 및 박리효과. 한국양식학회지, 16:223-228, 2003.
  11. 한석중: 전복양식. 155-167, 1998.

피인용 문헌

  1. 식용작물을 이용한 전복 박리 vol.30, pp.1, 2013, https://doi.org/10.7847/jfp.2017.30.1.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