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nalysis of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Korea Image Attributes and Korea Image Making in Uzbekistan

우즈베키스탄에서의 한국 이미지 속성과 한국 이미지 메이킹의 인과관계 분석

  • Ryu, Ki-Hw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Kwangwoon University) ;
  • Park, Myung-Chan (International Business Administration, Shinansan University)
  • 류기환 (광운대학교 정보과학교육원 경영학부) ;
  • 박명찬 (신안산대학교 국제경영학과)
  • Received : 2013.03.03
  • Accepted : 2013.03.21
  • Published : 2013.03.27

Abstract

The essenti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emplify empirically some relations of between Korea image attributes and Korea image making in Uzbekistan. This study is for providing basically empirical analysis for intensifying Korea's economic capacity based on Korean image in Uzbekistan and for offering any kinds of implications for the entry and management activities of Korean enterprises in world-wide business. This study is organized in two stages. First, the study model is designed by reappraising relevant theories, previous studies and the current investment qualifications concerning the country image attributes and image making. Second, the survey of Uzbekistan people who are living in South Korea is accomplished by collecting questionnaires. SPSS 15.0 for windows is being activated for correlation, reliability, validity and finally the statistical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utilized to testing the hypothesis by AMOS 7.0 for windows. In conclusion partially, Korea image attributes: economic capability, popular culture, national traits and enterprise competence are proved to influence positively to Korea image making: recognition, attractiveness and confidence which is considered generally by Uzbekistan people.

본 논문은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현지에 진출하여 직접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의 경영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우즈베키스탄은 풍부한 지하자원과 전형적인 경제성장 기조를 보여주는 현지지역으로 평가되어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였으며 특히, 한국기업의 진출성과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되어 연구범위로 한정하여 결정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한국을 나타내는 이미지 속성 요인들이 우즈베키스탄 소비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한국에 대한 이미지 메이킹은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휘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문헌분석을 실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립한 후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추리통계를 위해서는 신뢰성, 타당성 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였다.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설명하면, 한국 이미지 속성: 경제력, 문화, 국민성 그리고 기업능력이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로 인해 친화적이고 우호적인 이미지 메이킹- 인지도, 매력도, 신뢰도-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가 현지로 진출하거나 계획하고 있는 한국기업들의 현지경영전략 수립 및 실행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후의 연구는 이미지 이외의 변수들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