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ments for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he Web-Based Infographic Design

웹 기반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 요소

  • 권효정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
  • Received : 2013.05.01
  • Accepted : 2013.05.25
  • Published : 2013.07.31

Abstract

In the recently diversified web environment, the existing methodologies for studying and evaluating the usability of infographics have limit in being applied to new user experience environment. To ensure effective web design that considers various user environments, research needs to be done for such usability of infographics that executes 'simplification and compression of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andability of web-based infographic design, re-establish its concept, and produce the elements involved in the usability evaluation to come up with effective data on user experie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research for elucidating the connection to type-based or experienced-based data through convergence of various area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continuously transforming smart media environment.

최근 다변화된 웹 환경에서 기존의 정보그래픽 사용성 연구 및 평가 방법론들은 새로운 사용자 경험환경에 적용하는 데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다양한 정보 사용자 환경을 고려한 효과적인 웹 디자인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보의 단순화와 함축'이 잘 이루어진 인포그래픽 디자인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웹 기반 인포그래픽 디자인의 확장성을 이해하고 개념을 재정립하며, 사용성 평가요소를 도출함으로써 이를 통해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획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다양한 정보 분야의 융합을 통한 유형별 경험별 데이터와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 기반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민, 인터넷 신문에서의 인포그래픽의 정보표현방법과 전달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2. 인포메이션 그래픽, http://ko.wikipedia.org/wiki/인포메이션_그래픽, 위키백과, 2013.
  3. 김석기, 모바일 환경변화와 비즈니스 모델의 진화 세미나,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690625&g_menu=020310&rrf=nv, 2012.
  4. 오병근, 강성중, 정보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서울, 2008.
  5. 서현영, 디지털미디어환경에서의 아이덴티티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6. 최정희, "웹기반의 정보시각화를 위한 디지털 병풍 시스템 구현," 멀티미디어학회지, 제12권, 제9호, pp. 1342-1350, 2009.
  7. Williams, M., S. Smith, and G. Pecelli. "Computer-Human Interface Issues in the Design of an Intelligent Workstation for Scientific Visualization," SIGCHI Bulletin, Vol. 21, No. 4, pp. 44-49, 1990. https://doi.org/10.1145/379106.379118
  8. 남경돈, 모바일 인포그래픽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류시천, 멀티미디어 디자인에서 인포그래픽 요소로서 디지털 다이어그램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NRF) 연구성과물, 2003.
  10. 최동은,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품다, 디자인정글, http://magazine.jungle.co.kr/cat_magazin e_special/special_temp5_2.asp?idx_caller=2318&idx=2471&idx_special=166&ref=612&page=1&main_idx=2471&main_menu_idx=1, 2011.
  11. 김성희, 김문정, "웹 검색 결과 시각화 기법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 학회지, 제41권 제3호, pp. 181-199, 2007. https://doi.org/10.4275/KSLIS.2007.41.3.181
  12. 이상화, 월드와이드웹을 이용한 사용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석사학위논문, 1999.
  13. 권효정, 웹 정보시각화를 위한 비주얼서치 기반의 시지각패턴 연구, 부산대학교 디자인학 박사학위논문, 2011.

Cited by

  1. 버스정류소 키오스크DID 사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vol.20, pp.2, 2013, https://doi.org/10.9717/kmms.2017.20.2.429
  2. 정보 인식의 효율성과 인포그래픽의 시각적 조형성의 관계 vol.22, pp.5, 2013, https://doi.org/10.6109/jkiice.2018.22.4.764
  3. A Study on How To Design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to Spread Korean Food Culture vol.21, pp.6, 2013, https://doi.org/10.9728/dcs.2020.21.6.1049
  4. A Study on How To Design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to Spread Korean Food Culture vol.21, pp.6, 2013, https://doi.org/10.9728/dcs.2020.21.6.1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