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감각수용기 종류에 따른 전시매체 분석과 유형에 관한 연구 - 동경 국립과학박물관 지구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formation Transmission Processing Types of Exhibition Medium per Sensory receptor - Focus on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s Global Gallery, Tokyo -

  • 정혜인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
  • 임채진 (홍익대학교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투고 : 2012.10.31
  • 심사 : 2013.01.09
  • 발행 : 2013.02.28

초록

A science museum responds independently based on the exhibits and exhibition environments as the visitors are different in purposes, interests and demands. Therefore a science museum should be designed keeping it in mind that there are various ways for visitors to perceive and use the exhibition spaces and exhib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receptors for the exhibits in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s Global Gallery, Tokyo, in term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to identify the nature of exhibit medium that can affect the perception and recognition of the exhibits by visitors. Through these 9 sensory receptors, human recognizes first with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senses and reacts using vestibular organ, proprioceptor (stretch), tangoreceptor, themoreceptor, taste and olfactory senses. Human uses these information processing to recolonize the external environment. This process is similar to the visitor's information transmission process for the exhibition medium. By dividing the analysis results per exhibition theme and developing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rocessing types per sensory receptor,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distribution condition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scenario in the exhibtion area. Especially, the understanding of how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is made through sensory receptors could can be the criteria that determines on the factors that can identify the exhibition purposes of a science museum which are eduction and understanding.

키워드

참고문헌

  1. 임채진 외, MED. 박물관 전시.환경계획지침에 관한 연구, 홍익대 환경개발연구원, 1997.12
  2. 이근주 외, 국립과학관 운영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연구, 과학기술부, 2006.12
  3. 임경순.임채진 외, 국립과학관 건설을 위한 기본방향 설정 연구, 과학기술부, 2002.02
  4. Hillier & Julienne Hanson,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5. 고도재.임채진, 디자인 체험전시관의 전시공간구성 및 연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5권 제5호, 2003.05
  6. 황은경.홍수미.임채진, 과학관의 전시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통권51호, 2005.08
  7. 김용승.고유정, 어린이박물관 전시매체 유형별 관람객의 행동 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1권 2호 통권20호, 2009.10
  8. 박찬우, 과학계 박물관 전시공간의 연출매체구성과 관람행동분석,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1.06
  9. 박종래, 일본과학계박물관의 전시수법과 연출에 따른 이용자 행동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6권 제6호, 2004.05
  10. 김철근 外, 전시이론과 기법 연구집, 국립중앙과학관, 1996
  11. 일본건축학회편, 인간심리행태와 환경 디자인, 배현미 외 역, 보문당, 2006
  12. 윤성규.임채진, 관람객의 방문유형에 따른 전시환경 인지와 관람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5권 제12호 통권254호, 2009.12
  13. 정수영.임채진.윤성규, 관람객과 전시물의 전시정보전달 프로세스를 고려한 전시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8권 제4호 통권282호, 2012.04
  14. Eric R Kandel 외, 신경과학의 원리, 김종만 외 공역, HN 사이언스, 2011
  15. 임채진 외, 21세기 박물관 발전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문화체육부, 1997.12
  16. 국립자연사박물관 전시계획 기초연구, 문화관광부,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