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Labor Market Policy according Wage and Labor time in the Korea

국내 임금과 노동시간의 추이를 통한 노동시장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Jang, Yu-Mi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hangshin University)
  • 장유미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3.03.09
  • Accepted : 2013.04.13
  • Published : 2013.05.30

Abstract

It will prove that with a more plausible spec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the value of leisure, we can develop a more accurate model of the labor market without necessarily losing the primary merit of the received model. Moreover, with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labor market dynamic we can see that progressive era labor market legislation, designed to mitigate the effects of bargaining power inequality in low wage labor markets, was in fact based upon sensible economic found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 These low-wage dynamics present an example of a positive feedback system or "vicious circle" at work in the economy. With the revised labor supply schedule presented above, the market dynamic of the low wage sector push the wage away from the range that is consistent with a self-regulating market.

최근 몇 십년간 한국시장에서의 임금 변화,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에 대한 가치는 매우 빨리 증가하였다. 고전학파의 우상향하는 노동공급곡선은 여가의 가치와 관련되어 수정되어야 한다는 Robert E. Prasch의 재수정된 후방굴절형(backward-bending) 노동공급곡선 모형을 바탕으로 과연 한국의 상황에서도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임금과 노동시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역동적인 노동시장 안에서, 낮은 임금에서의 불균등한 계약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형평성(equity)과 효율성(efficiency)사이의 상호작용 측면, 최소 임금과 최대 노동시간에 대한 현실적인 측면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 조사 1차(1998)년도에서 10차(2007)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외환위기 이후 국내의 임금과 노동시간관계를 파악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