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ld Impairments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with Restless Legs Syndrome

노인 하지불안증후군에서의 인지기능 저하

  • Kim, Eun So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Yoon, In-Yo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Kweon, Kukju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Park, Hye You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Lee, Chung Suk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Han, Eun Kyo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Kim, Ki Woo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김은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 윤인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 권국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 박혜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 이정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 한은경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 김기웅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Received : 2013.02.08
  • Accepted : 2013.05.01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Objectives: Cognitive impairment in restless legs syndrome (RLS) patients can be affected by sleep deprivation, anxiety and depression, which are common in R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RLS in the non-medicated Korean elderly with controlling for psychiatric conditions. Method: The study sample for this study comprised 25 non-medicated Korean elderly RLS patients and 50 age-, sex-, and education- matched controls. All subjects were evaluated with comprehensive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tools- including the Korean version of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CERAD-K), severe cognitive impairment rating scale (SCIRS), frontal assessment battery (FAB), and clock drawing test (CLOX).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were also assessed with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sults: PSQI and GDS scor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RLS and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nearly all the cognitive function except in constructional recognition test, in which subjects with RLS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control group (t=-2.384, p=0.02). Subjects with depression ($GDS{\geq}10$) showed significant cognitive impairment compared to control in verbal fluency,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in the CERAD-K (MMSE-KC), word list memory, trail making test, and frontal assessment battery (FAB). In contrast,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subjects who have low sleep quality (PSQI>5) and control group. Conclusions: At the exclusion of the impact of insomnia and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was found to be relatively preserved in RLS patients compared to control. Impairment of visual recognition in RLS patient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dopaminergic dysfunction in RLS.

목 적: 하지불안증후군에서의 인지기능 저하는 흔히 동반되는 수면박탈, 불안, 우울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투약 받지 않고 있는 한국 노인 인구에서 하지불안증후군과 인지기능 저하와의 관련성을 동반 증상의 영향을 배제하고 살펴보는 것이다. 방 법: 연구대상은 25명의 투약 받고 있지 않은 한국 노인 하지불안증후군 환자군과 나이, 성별, 교육연한에 따라 짝지은 50명의 대조군이다. 모든 연구대상에 대해 CERAD-K 신경심리평가, 중증인지감퇴평가 척도, 전두엽 기능 평가, 그리고 시계 그리기 검사(CLOX)를 포함한 광범위한 인지기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또한 수면의 질 평가를 위해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우울증의 평가를 위해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를 사용하였다. 결 과: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의 PSQI와 GDS 점수의 차이는 없었다. 구성 재인 검사에서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t=-2.384, p=0.02), 이를 제외한 모든 영역의 인지기능 평가에서 환자군과 대조군의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우울감이 있는 대상($GDS{\geq}10$)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언어 유창성, 간이 정신상태 검사, 단어목록기억, 길 만들기 검사, 전두엽 기능 평가의 영역에서 유의한 인지기능 저하를 보였다. 수면의 질이 낮은 대상(PSQI>5)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인지기능 평가의 전 영역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군을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환자군은 불면과 우울의 영향을 배제하면 비교적 인지기능이 보존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환자군에서 관찰되었던 시각 인지 영역의 저하는 하지불안증후군에서의 도파민 신경전달계의 장애와 연관하여 해석해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