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Highly Metaphorical Science Terminologies

은유적 과학 용어들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및 이해도 조사

  • Received : 2012.12.03
  • Accepted : 2013.05.03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old metaphorical science terminologies and new metaphorical science terminologies (highly metaphorical science terminologies). For the study, three old metaphorical terminologies and three new metaphorical terminologies have been chosen from the old and new Korean science curricula respectively, and 176 high school students who learned physics based on 7th science curriculum developed in 1997 and 175 highschool students who learned physics based on the science curriculum revised in 2009 were sampled from two high schools in a big city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old metaphorical terminologies, there are more students who give explanations using scientific terms than those who use the meaning of the metaphors that terminologies had. Second, for the new metaphorical terminologies, there are much less students who give explanations using scientific terms than those who explained using the meaning of the metaphors that the terminologies had. Therefore,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for the new metaphorical terminologies, the metaphorical meaning of the terminologies do not mean the concepts themselves in teaching science.

본 연구는 오래된 은유적 과학 용어들과 2009 개정교육과정에 새로 포함된 은유적 과학 용어들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이해정도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은유적 과학 용어들을 선정하였으며, 대상 학생들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을 학습한 고등학생 176명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을 학습한 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과 2009개정교육과정 둘 다에 포함되어 있는 오래된 은유적 용어에 대해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과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 모두 은유적으로 이해하는 학생보다 교과서의 표현 그대로 또는 부분적으로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학생의 수가 많았다. 이 경향은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과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새로 포함된 은유적 과학 용어들에 대해서는 '블랙홀'과 같이 방송 매체나 인쇄매체를 통해 자주 접할 수 있는 개념들은 과학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경향이 어느 정도 있지만 거의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지 못하는 은유적 과학 용어들은 학습 후에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매우 어려워했다. 과학에서 오래 사용한 은유적 용어들의 경우에는 과학적인 이해로 변화하는 경향이 높긴 하지만 새로운 은유적 용어들의 경우에는 학생들이 개념을 바르게 이해하기 전에 그 용어가 가지는 은유적인 의미가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적 이해를 어렵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3. 권혁순, 김창민, 노태희 (2001). 다중 비유의 사용 방식이 중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14-121.
  4. 김영민 (1991). 전류 개념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물 회로 비유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해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2), 1-12.
  5. 김영민, 박희숙 (2000).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리 개념 설명을 위해 사용된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11-420.
  6. 김영민, 유준희, 박승재 (1995). 체계적 비유 수업을 받은 중학생의 전류 개념의 시간적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17-26.
  7. 김영민, 김익균, 김성원, 박병윤, 정병훈, 박종원, 김재권, 권경필 (2011). 고등학교 물리 I, (주)교학사.
  8. 김종도 (2004). 인지언어학적 원근법에서 본 은유의세계, 한국문화사.
  9. 김희백, 김성하, 이선경, 김형련 (2001). 호르몬 작용이해를 위한 동적 비유 모형 수업의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1), 57-64.
  10. 노태희, 권혁순, 이선욱 (1997).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비유물을 체계적으로 사용한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323-332.
  11. 노태희, 김창민, 권혁순 (1999). 대응 명료화 전략 및 비유물의 제시 시기가 중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107-116.
  12. 신선경 (2009). 자연과학 텍스트에 나타난 유추와 은유(개념구조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의미학 29, 135-152.
  13. 원명옥 (1999). 과학적 은유의 특성과 실례분석. 언어과학, 6(1), 59-80.
  14. 황희숙 (2000). 과학이론에서 은유의 역할. 대진대 철학연구 제 65집, 172-192.
  15. 홍성희 (2012). 2009 개정 교육과정 물리 I 교과서의 은유적 개념 분석 및 은유적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Boyd R. (1993). Metaphor and Theory Change: What is Metaphor a Metaphor for? In Andrew Ortony(Ed), Metaphor and Thought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6-408.
  17. Brown, T. (2003). Making Truth: Metaphors in Science. Urbana and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18. Cantor, G., Gooding, D. & James, F. (1996), Michael Faraday, New Jersey: Humanities Press.
  19. Clement, J. (1993). Using Bridging Analogies and Anchoring Intuitions to Deal with Students'Preconceptions in Phys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10), 1241-1257. https://doi.org/10.1002/tea.3660301007
  20. Glynn, S. M. (1989). The teaching with analogies model: Explaining concepts in expository texts. In K. D. Muth (Ed.), Children's comprehension of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Research into practice (pp. 185-204). Neward,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21. Glynn, S. M., & Takahashi, T. (1998). Learning from analogy-enhanced tex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10), 1129-114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12)35:10<1129::AID-TEA5>3.0.CO;2-2
  22. Harrison, A. G., & Treagust, D. F. (1993). Teaching with analogies: A case study in grade-10 op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10), 1291-1307. https://doi.org/10.1002/tea.3660301010
  23. Harrison, A. G., & Treagust, D. F. (2006). Teaching and learning with analogies: friends or foe? In Aubusson, P. J., Harrison, A. G. and Richie, S. M. (Eds.). Metaphors and analogy in science education, Springer.
  24. Holton, G. (1973). Thematic Origins of Scientific Thought: Kepler to Einstein.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25. Lakoff, G., & Johnson, M. (1980). "Conceptual Metaphor in Everyday Language." The Journal of Philosophy, 77(8), 453-486. https://doi.org/10.2307/2025464
  26. Letherdale, W. H. (1974). The Role of Analogy, Model and Metaphor in Science. New York: American Elsivir Publishing Co.
  27. Mayer, R. E. (1993). The instructive metaphor; Metaphoric aids to students'understanding of science. In A. Ortony, Metaphor and thought, 2nd ed. Cambridge CB: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Mead, M. (1959). Apprenticeship Under Boas. American Anthropologist, 61(5), 29-45.
  29. Ortony, A. (Ed), Metaphor and Thought (2nd ed.). Cambridge CB: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Reeves, C. (2005). The Language of Science. 오철우 역 (2010). 과학의 언어. 서울: 궁리.
  31. Ritchie, S. M., Bellocchi, A., & Wearmouth, M. (2006). Metaphors and analogies in transition. In P. J. Aubusson, A. C. Harrison, & S. M. Ritchie, Metaphor and analogy in science education (pp. 93-104). Dortrecht, the Netherlands:Springer.
  32. Sheils, J. (2012). The electric vocabulary, Physics Education, 47(1), 78-86. https://doi.org/10.1088/0031-9120/47/1/78
  33. Simon, G. (2000). Analogies and Metaphors in Kepler. In: F. Hallyn (Ed.) (2000), Metaphor and Analogy in the Sciences, (pp 71-82).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34. Taber, K. S. (2001). When the analogy breaks down: Modelling the atom on the solar system. Physics Education, 36, 222-226. https://doi.org/10.1088/0031-9120/36/3/308
  35. Tenny, Y. J., & Gentner, D. (1985). What makes water analogies accessible: Experiments on the water-circuits in teaching electric circuits. In Duit, R., Jung, W., & Rhoeneck, C. V. (Eds.). Aspects of understanding electricity.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Workshop, Ludvigsburg, Sept. 10 to 14, pp. 311-318.
  36. Treagust, D. F., Duit, R., Joslin, P., Moines, D., & Lindauer, I. (1992). Science teachers' use of analogies: Observation from classroom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4(4), 413-422. https://doi.org/10.1080/0950069920140404
  37. Zeitoun, E. H. (1984). Teaching science and analogies: A proposed model.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2(2), 107-125. https://doi.org/10.1080/0263514840020203

Cited by

  1.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Korea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51
  2. A Study on the Typification of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School Grammar Terms vol.52, pp.1, 2017, https://doi.org/10.20880/kler.2017.52.1.463
  3. 초등학생들의 빛에 대한 이미지 스키마 분석을 통한 개념적 은유 구조 연구 vol.38, pp.6,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6.813
  4. 중학교 천문학 용어에 대한 학생의 오개념 유형 탐색 vol.44, pp.3, 2020, https://doi.org/10.21796/jse.2020.44.3.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