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거공간을 위한 IT결합 광선반시스템 개발 연구 -조명에너지 저감을 중심으로-

A Study on Light-shelf system based on IT in Housing Space -Focus on Lighting Energy Saving-

  • 안혜영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
  • 이행우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
  • 김용성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 투고 : 2012.11.06
  • 심사 : 2013.02.26
  • 발행 : 2013.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light-shelf system combined with IT to save lighting energy in resident space. According to the multiple variables that affected intensity of illumination, various experiments were designed and conduc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1)the optimal level of light-shelf system was formulated which met the appropriate range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in living-room; (2)although the mixed light-shelf system indicated a high performance, it could often provide discomforts to residen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osure; (3)artificial lights using light-shelf system combined with IT showed a higher effectiveness than those using fixed light-shelf system displayed. This study provided initial information of light-shelf system formative processes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lighting energy diminution. Future studies should focus more on multiple approaches regarding different types of resident space plan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덕우, 박철수(2009). 외피 친환경 성능평가 II:광선반, RetroLux.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 대회 논문집, 83-90.
  2. 김봉균, 김정태(2005). 광선반 유형에 따른 실내 채광특성에 관한 축소모형 실험적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통권9호, 43-50.
  3. 김정태, 신현구, 김곤(2003). 광반사를 이용한 광선반 채광시스템의 기본형상 설계 및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19권 제3호 통권 제173호, 277-284.
  4. 박병철, 김유신, 정근영, 최안섭, 이정호(2007). 광센서 조광제어시스템과 실내 차양장치의 연동을 위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제27권 제1호, 989-902.
  5. 신현구(2003). 광선반의 채광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6. 윤경, 조동우, 김강수(2011). Radiance 프로그램을 이용한 주거공간의 빛 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7권 제2호 통권 제268호, 227-234.
  7. 이건호, 강기남, 문선혜(2009). 일반 커튼월의 성능평가를 통한 인공태양실험실(A.S.L.)의 운영 전략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110-116.
  8. 이정은, 최안섭(2005). 주거공간의 실내공간별 조도기준을 위한 빛환경 연구.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1-9.
  9. 이종영, 송규동(2010). 학교교실의 빛환경 개선을 위한 애니돌릭 천장 자연채광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지 제26권 제11호, 327-338.
  10. 이현우, 이시내(2011). 사무소 건물에서 수평형 광선반을 이용한 빛환경 개선.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8권 제1호 통권 제60호, 145-152.
  11. 임재한, 정진주, 이지영(2008). 학교 건물에서 외부 차양 장치 유형에 따른 일반교실 내 빛 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15권 제2호 통권 제63호, 4-15.
  12. 장준호, 박병철, 최안섭(2006). 이중 광선반을 이용한 사무공간의 자연채광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6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3-18.
  13. 정유근(2007). 창호일체형 광선반 시스템 채광성능 평가.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7 n.5(통권 27호), 41-46.
  14. 조수(2009). 건물에너지 통합 운영 기술 개발 현황. 대한건축학회지 제53권 제2호 통권357호, 30.
  15. 조일식(2003). 광선반을 도입한 실내공간의 주광해석에 관한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16. 최택진, 이성주, 김유경, 김회서(2001). 공동주택에 있어 빛선반 활용에 따른 에너지 절감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II), 971-974.
  17. 한상필(2010). 채광과 인공조명을 조화시키기 위한 조명제어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6권 제8호, 317-324.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Suggestion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pplying General Illumination and Technology of User and Location Awareness vol.27, pp.10, 2015, https://doi.org/10.6110/KJACR.2015.27.10.527
  2.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Light Shelves Using Width-Adjustable Reflectors vol.2018, pp.1687-8094, 2018, https://doi.org/10.1155/2018/2028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