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valuation of Design Factors with Sidewalk Cafes for Street Revitalization

가로 활성화를 위한 가로변 노천카페의 유형별 설계요소 평가

  • Kim, Dong-Chan (College of Art and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 Choi, Woo-You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 Hee University)
  • 김동찬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
  • 최우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2.12.18
  • Accepted : 2013.04.22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types of sidewalk cafes, and to evaluate design factors with types of sidewalk cafes for street revitalization. Consequently, it may suggest efficient and systemic policies for the guidelines of sidewalk cafes. To ensure this end, the types of sidewalk cafes were categorized from the street relationship perspective by site investigation. A literature review and importance analysis were used to select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 methods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s a result, five main factors of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contracted: accessibility, aesthetics, identity, environmental, culturedness. Cumulative factor loading of these five factors was 68.731%, which was quite high. And the evaluation using the Likert scale was performed by 4 experts. Types of sidewalk cafes were categorized into 5 types: protruding, gating, blending stereoscopic, elevation angle, and sign provision from the street relationship perspective. On the evaluation by type, aesthetics and culturedness were the worst evaluated in the protruding type and the gating type, culturedness was the worst in the blending stereoscopic type, accessibility, aesthetics, culturedness were the worst in the elevation angle type, and accessibility, identity, culturedness were the worst in the sign provision type. On the evaluation by the indicators, culturedness was the worst evaluated, and on the evaluation by criteria, 'safety for impaired persons', 'interest of programs', 'openness of entrance' were the worst. It is recommended that a survey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cused on users be conduct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평가기준을 선정하여 유형별로 평가함으로써 추후 노천카페 가이드라인을 만들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로와의 관계성 관점에서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가로변 노천카페의 전수조사가 시행되었다. 그리고 평가기준을 선정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와 중요도 조사가 사용되었고, 데이터의 분석에는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등과 같은 통계방법들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노천카페의 유형은 가로와의 관계성 관점에서 가로돌출형, 가로개폐형, 혼합입체형, 가로앙각형, 사인제공형 등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평가항목의 5개 요인은 접근성, 심미성, 정체성, 환경성, 문화성이었는데, 이 5개 요인의 누적기여율은 68.731%로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평가항목을 토대로 조경 전문가 4인이 5점 리커트 방식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형별 평가 결과, 가로돌출형과 가로개폐형은 '심미성'과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고, 혼합입체형은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가로앙각형은 '접근성', '심미성', '문화성', 사인제공형은 '접근성', '정체성', '환경성'의 점수가 낮았다. 지표별 평가 결과,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고, 항목별 평가 결과, '장애인의 안전성', '프로그램의 흥미성', '출입의 개방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요구와 관심은 높지만 연구가 미흡한 분야인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평가를 수행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로변의 노천카페만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주변 환경의 차이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다양한 환경의 노천카페를 대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가가 평가를 시행하였으므로 추후 이용자 입장에서의 중요도와 만족도 조사도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수(2008) 도시 고층건물내 공개공지의 공공성 확보방안에 대한 의식 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논문집 6(2): 111-118.
  2. 김기수, 김중섭(2010) 한국, 미국, 일본 청소년들의 도시 고층건축물 내 공개공지의 공공성 평가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지 8(1): 31-38.
  3. 김도경, 김건영(2011) 서울시 도시환경정비사업 내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5): 21-32.
  4. 김도년(2011) 가로활성화를 위한 보도공간의 민간 활용방안. 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5. 김도년(2012) 노천카페를 활용한 가로활성화 방안. 시정개발연구원보고서.
  6. 김동찬, 최우영(2013) 가로의 장소성 확보 및 활성화를 위한 노천카페 설계요소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9(3): 147-154.
  7. 김세용, 양동양(1997) 도시의 공공공간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2(1): 53-68.
  8. 김주석, 최장순, 최찬환(2002) 공개공지의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5): 39-46.
  9. 김혜경(1996) 공개공지 조성 및 이용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태희, 서주환(2005) 환경조형물의 시각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pp. 10-16.
  11. 송호진(2008) 도시가로시설물의 정비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엄붕훈(2011) 대형건축물 공개공지의 조성 및 관리실태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9(6): 36-45. https://doi.org/10.9715/KILA.2011.39.6.036
  13. 우동주(2008) 도시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공개공지의 설계 지침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 117-124.
  14. 우상기(2009) 보행자 중심의 도시가로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0(2): 275-284.
  15. 이나영(2002) 도심지 가로환경시설물 디자인의 개선방향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득구(2004) 걷고 싶은 거리의 보행환경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승희(2007) 건물전면공지 간의 연결성 개선을 위한 디자인가이드라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장광집(2010) 도시관문의 가로시설물 배치와 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1(3): 411-424.
  19. 조원석(2009) 공공디자인의 가로시설물에 대한 해외사례의 조사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1(3): 11-18.
  20. 장하리, 이인성(2006) 공개공지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7(4): 47-61.
  21. 정창구, 김홍규, 김기수(2008) 조성위치에 따른 도시 고층사무소건축물 공개공지의 공공성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5): 201-210.
  22. 차호철, 박철민(2011) 뉴욕 활성화 상업가로의 물리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7(6): 39-46.
  23. 채두병, 이주형, 송희열(2010) 공개공지의 질적수준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중요 설계요소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3): 95-104.
  24. 최희원, 배현진, 이상호(2002) 건축설계 전문가의 의식 조사를 통해 본 공개공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10): 175-182.
  25. 호창기(2008) 도시 공개공지 유형에 따른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Nan Ellin(2006) Integral Urbanism. New York: Routledge.
  27.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769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