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Green Construction Projects using FiT and CDM Support Mechanisms

녹색 건설 사업의 FiT 및 CDM 보조방안에 의한 수익성 향상 분석에 관한 연구

  • 구본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공학과)
  • Received : 2013.02.07
  • Accepted : 2013.03.08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Green infrastructure projects have the potential to reduce global warming and deliver sustainable energy solutions. Recently,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expanding their portfolios in New and Renewable (NRE) projects. However, the economic feasibility of NRE projects have not been validated and construction companies are not acquainted with their associated risks. This research performed a two-tiered feasibility study of the domestic projects registered for CDM in the UNFCCC. The first phase involved calculating the average IRR and NPV of the domestic CDM projects, which showed that their profitability to be very low. In the second phase, four NRE projects (Solar, Wind, Hydro, Landfill Gas) were selected and additional income generated from Feed-in-Tariff and CER sales were added to determine the improvements in the projects' IRR and NPV. Results indicate that Solar and Landfill Gas projects benefited the most from the two support mechanisms, while benefits to Wind and Hydro projects were minimal. While the Landfill Gas project had the highest IRR, the Wind project was the most investment attractive due to its NPV and minimal dependency on FiT and CER sales. Construction companies should enter into NRE projects with a long term view as related technologies mature.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녹색 사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건설 기업들도 기존 토목 및 건축 공종에서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투자경제성이 검증되지 않고 건설 기업들은 관련 리스크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색 건설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수행되고 청정개발체제(CDM)사업으로 등록된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투자경제성에 관한 단계별 분석을 수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UNFCCC에 등록된 국내 CDM 사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평균 IRR은 -3.19%로 사업들의 수익성이 저조한 것을 파악하였다. 2단계에서는 사업별(태양광, 풍력, 수력, 매립가스)로 IRR이 가장 낮은 사업을 선정하여 국내의 발전차액지원제도(FiT)와 탄소배출권(CER)판매를 통한 추가 수입을 적용하여 수익성 향상 여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투자경제성이 있는 사업은 매립 가스 및 풍력 사업이었으며 두 보조방안에도 불구하고 태양광 및 수력 사업은 수익성이 없었다. 또한 사업별로 보조방안의 비중이 상이한 것을 볼 수 있었는데 특히 FiT는 태양광, CER판매는 매립가스 사업이 가장 혜택을 보았다. 이에 비해 풍력 및 수력 사업은 보조방안으로 인한 추가 수입이 적은 것을 파악하였다. 4개의 대상 사업 중 매립가스의 IRR이 가장 개선되었으나 풍력사업이 NPV가 가장 높고 보조방안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 투자매력도가 좋은 사업으로 드러났다. 건설 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이 성숙하면서 경쟁력이 높아짐에 따라 장기적 관점에서 관련 사업에 투자와 경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범 (2011). "글로벌 녹색건설의 발전과 녹색 인프라 상품 및 시장." 건설저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 김태선 (2009). "탄소시장의 비밀." 경문사.
  3. 오병삼 (2009). "저탄소 녹색 성장-지속 가능한 미래 건설 동력으로." 건설저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4. 에너지관리공단 (2006). "CDM 사업 인증사업 안내." CDM 인증원.
  5. 에너지관리공단 (2007). "기업을 위한 CDM 사업지침서." 에너지관리공단, 화신 문화주식회사.
  6. 이복남 (2005). "해외건설시장과 경쟁패러다임의 새로운 추세." 대한토목학회지, 제53권 제11호, pp. 64-69.
  7. 이의동.이재욱.김한수 (2012). "건설기업의 녹색건설 경쟁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3권 제5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23-134. https://doi.org/10.6106/KJCEM.2012.13.5.125
  8. 장현승.이복남.김우영.장철기 (2009). "녹색건설상품 진단 및 전망". 연구보고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9. 지식경제부 (2009). "신.재생에너지이용 발전전력의 기준가격" 지침지식경제부 고시 제2009-207호
  10. 최석인 (2009). "세계 녹색건설시장 동향과 시사점 - 에너지 및 빌딩 시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설진흥회, 국토해양저널, 제26권 제4호, pp. 42-48.
  11. 최석진.이강욱.한승헌 (2012). "해외건설시장의 신성장동력 공종선정 및 진출전략 도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제13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5-36. https://doi.org/10.6106/KJCEM.2012.13.2.025
  12. Carina Heimdal, Emil Dimantchev, Hongliang Chai, Emilie Mazzacurati,Anders Nordeng, Ingvild Sorhus, Natalia Yakymenko and Elizabeth Zelljadt (2012). "Carbon 2012. A Market Waiting for Godot." Thomas Reuters Point Carbon.
  13. Ecosecurities (2007). "Guidebook to financing CDM projects." Roskilde UNEP-CD4CDM.
  14. World Bank (2012). Green Infrastructure Finance : Framework Report. ${\copyright}$ Washington, DC.

Cited by

  1. Using the Binomial Option Pricing Model for Strategic Sales of CER's to Improv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CDM projects vol.15, pp.1,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1.111
  2. Predicting the success of CDM Registration for Hydropower Project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CART vol.16, pp.2, 2015, https://doi.org/10.6106/KJCEM.2015.16.2.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