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Engagement of Professional Construction Managers in Construction Management firm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CM 전문회사 단장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 Received : 2012.10.18
  • Accepted : 2012.12.31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e number of construction management firms has been increased as construction management delivery system has been active in Korean construction market. the capability of leading construction management professional, who is responsible for managing project administration, is important for commissioning construction management contracts. The quality of project proposal and the capability of leading construction management professional, which are assessed by the board of contract awarding committee, are the major contributors for commissioning the public construction management projects administered by the Korean public procurement service for contracting. Therefore, employing a very competent leading construction management professional is the critical strategy for awarding contract to the construction management firms' part. That is why the firms should secure a fixed number of leading construction management professional in a waiting list to proceed the contract commissioning process for expectant candidate projects, even if there is no project assignable to the leading construction management professionals. However, a measure that makes effectively use of the leading construction management professional in a waiting lis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the firms. In turn, the firm suffers considerable loss in a project personnel supply and demand plan. Expert opinions were obtained by the survey questionaries administered to top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firms which are engaged i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contracts for commissioning the public construction management projects administered by the Korean public procurement service either as principal or co-principal deliverer.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btained by investigating the actual employment state of the leading construction management professional in the waiting list and by analyzing the issues involved in mobilizing and demobilizing them. It contributes to implement a practical guide for searching effective solutions to the issues.

국내 CM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경쟁이 심화되어 실제 프로젝트 관리를 담당하는 CM단장의 능력은 CM사업 수주를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로 인해 각 CM전문회사는 유능한 CM단장의 확보를 위해 현재 담당 프로젝트가 없더라도 후속 프로젝트의 수주를 위해 CM단장을 일정수 대기상태로 확보하고 있으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방법이 마련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CM전문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대기상태 CM단장들의 활용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CM단장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CM전문회사의 현재 대기상태 CM단장 인력수는 적정 비율 및 인력수에 비해 약 2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CM단장의 선정기준으로 프로젝트의 수주를 위해 프레젠테이션 능력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기상태 CM단장의 보유 및 활용상 문제점은 크게 고용비용 증가와 현장 및 본사 업무지원능력 부족 및 제한적 활용으로 요약되었고, 대기상태 CM단장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현장 및 본사 기술지원과 수주능력 강화 및 제도개선 등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석.이홍기.이우식 (2004), "용역형 CM계약방식에 따른 발주자 업무프로세스 모형화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0권 제2호, pp.71-80
  2. 김동희.김한수(2011), "리더 역할 관점에서의 CM단장 역할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설계단계를 중심으로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1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25-132 https://doi.org/10.6106/KJCEM.2011.12.1.125
  3. 김동희.김한수 (2011), "CM단장 핵심역량 발굴에 관한 연구"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6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93-100 https://doi.org/10.6106/KJCEM.2011.12.6.93
  4. 김상철.윤준선 (2010), "국내 건설사업관리의 시장 분석 및 인식에 대한 고찰, CM의 성과평가, 제도개선-역량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6권 제3호, pp.85-92
  5. 김선규(2006), "국내CM시장의 지속적 발전을위한 CM업체간 전략적 협력체계 구축 모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2권 제12호, pp.139-146
  6. 김찬규(2011), "중소형CM 사업자의 시장참여 증대와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7권 제5호, pp.127-134
  7. 정민.이강(2011), "CM 선정요인과 고객특성 관계에 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7권 제2호, pp.125-132

Cited by

  1. A Study on Elements of CM Firms' Competitive Strategy vol.14, pp.5,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5.122
  2. An Analysis on the Job Performance of Construction Manager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vol.30, pp.10, 2014, https://doi.org/10.5659/JAIK_SC.2014.30.1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