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Collection of weeds were done in 3 remodeled paddy fields located in different districts with different soil moisture conditions such as Samolpo district (14.6%), Gimhae (9.8%) and Chilhyun (5.6%). Remodeled paddy fields composed of 62 plant species belonging to 23 families. Among 23 families, Compositae was the largest family with 11 species belonged to (17.7%) followed by Poaceae with 9 species (14.5%), Leguminosae with 8 species (12.9%), Cyperaceae with 7 species (11.3%), and Polygonaceae with 5 species (8.1%). Summed dominance ratio of each species based on number, coverage, frequency, and plant height in Samolpo district was Echinochloa oryzoides (100%) > Cyperus difformis (9.0%) > Bidens frondosa (5.3%) > Panicum dichotomiflorum (4.8%) > Eclipta prostrata (4.4%). In Gimhae; Digitaria ciliaris (100%) > Panicum dichotomiflorum (49.4%) > Echinochloa oryzoides (48.8%) > Persicaria hydropiper (27.1%) > Chenopodium ficifolium (10.2%), and in Chilhyun were Panicum dichotomiflorum (90.8%) > Digitaria ciliaris (66.7%) > Cyperus iria (8.6%) > Bidens frondosa (7.6%). Total dry weight of weeds recorded was 535.4 g $m^{-2}$, 316.1 g $m^{-2}$ and 346.2 g $m^{-2}$ in Samolpo, Gimhae and Chilhyun districts, respectively. Simpson's index was calculated to 0.09~0.28, which showed that weed occurrence in remodeled paddy fields with different soil moistures varied.
낙동강 유역 리모델링 농경지의 토양수분 함량별 잡초발생 양상과 군락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한 3지역의 pH는 6.3~6.4이었으며 EC는 0.1~0.4 ds $m^{-1}$이었다. 토양수분 함량은 사몰포가 14.6%로 가장 높았으며, 김해가 9.8%, 칠현이 5.6% 순이었다. 또 토양화학성은 사몰포가 유기물 함량은 14.8 g $kg^{-1}$로 김해와 칠현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으며, 유효 인산의 함량은 48.0 mg $kg^{-1}$이었다. 리모델링 농경지 및 논뚝에서 발생한 초종은 전체 23과 62종으로 과별로는 국화과가 11종(17.7%)으로 가장 높았으며, 화본과 9종(14.5%), 콩과 8종(12.9%), 방동사니과 7종(11.3%)이었고, 기타 27종(43.6%)이었다. 초종별 우점으로는 사몰포가 피(100%) > 알방동사니(9.0%) > 미국가막사리(3%) > 미국개기장(4.8%) > 한련초(4.4%) 순이었고, 김해는 바랭이(100%) > 미국개기장(49.4%) > 피(48.8%) > 여뀌(27.1%) > 좀명아주(10.2%), 칠현은 미국개기장(90.8%) > 바랭이(66.7%) > 참방동사니(8.6%) > 미국가막사리(7.6%) 순이었다. 잡초 건물중은 사몰포에서 535.4 g $m^{-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칠현에서 346.2 g $m^{-2}$이었으며, 김해에서는 316.1 g $m^{-2}$이었다. 잡초형태별로는 사몰포가 화본과 > 광엽잡초=방동사니과 순이었으며, 김해와 칠현은 광엽잡초 > 화본과 > 방동사니과 순이었다. 잡초군락의 평균유사성 계수는 18.1%로 토양수분 함량별로 다른 조사 지점간에 81.9%로 초종들의 구성에 차이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