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s between Menstrual History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Middle School Girls

여중생들의 월경력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 Song, Min Sun (Department of Nursing, Konyang University) ;
  • Choi, Chan Hun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송민선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 최찬헌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Received : 2013.02.06
  • Accepted : 2013.03.28
  • Published : 2013.04.25

Abstract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strual history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middle school girls. The study included 165 students. Self image, optimism and self-efficacy are measured structured questionnaires each.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test, ANOVA and Scheffe's test. The proportion of the students with bleeding period less than 7 days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high self image(p=.002). The self image was higher in the group who take analgesics occasionally than the group who take daily(p=.009) and in the group with irregular menstruation(p=.024). Emotional tone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irregular menstruation(p=.008), and psychopathology was higher in the group who take analgesics occasionally(p=.008). Family relationship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bleeding period less than 7 days(p=.004), in the group who take analgesics occasionally(p=.007) and in the group with irregular menstruation(p=.015). Mastery and coping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bleeding period less than 7 days(p=.026). Adaptation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irregular menstruation(p=.034). Also optimism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bleeding period less than 7 days(p=.005), in the group who experienced menorrhalgia a few years after menarche(p=.014) and the group with irregular menstruation(p=.027). Self-efficacy was higher in the group of polymenorrhea(p=.029). Because menstruation is related with psychiatric factors, it is necessary to ask menstruation history and psychiatric status.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oriental medical examination.

Keywords

References

  1. 이인선, 김규곤. 월경이상을 가진 여고 1학년 학생의 병기산 출빈도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9: 5-12, 2005.
  2.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 행림출판, p 114, 1994.
  3. 정행규. 특강 동의보감. 하동, 동의보감출판사, p 79, 2007.
  4.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 I. 서울, 정담, pp 77-78, 122-123, 2007.
  5. 葉天士. 臨証指南醫案. 上海, 상해과학기술출판사, p 666, 2000.
  6. 蕭塤著, 김동일, 김민성 옮김. 女科經綸新解. 서울, 보명, pp 24-25, 88, 2006.
  7. 陳自明. 婦人大全良方. 北京, 인민위생출판사, p 22, 1992.
  8. 전정희, 이해정. 체험위주 월경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월경태도 및 월경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4(2):93-109, 2007.
  9. 정미경. 여고생의 월경지식, 태도, 증상 및 대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0. 이충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초경 경험과 월경태도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박영수, 홍선심.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월경 특성과 월경곤란증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4: 97-115, 2003.
  12. 신수희, 앙혜경, 조영채. 도시지역 일부 여자고등학생들의 월경통과 관련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1):91-101, 2007.
  13. 최교훈. 걱정, 스트레스 및 우울이 월경전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14. 조혜숙. 한방부인과 설문지를 통한 痛經에 관한 조사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2.
  15. 이춘재, 곽금주. 자기상(self-image)로 본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발달(I): 연령에 따른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7(2):119-135, 1994.
  16. Scheier, M.F.. Carver, C.S.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6(2):201-228, 1992. https://doi.org/10.1007/BF01173489
  17. Vealey, R.S. Conceptualization of sport-confidence and competitive orientation :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instrument development, Journal of sport psychology 8: 221-246, 1986.
  18. Peterson, A.C., Schulenberg, J.E., Abramowitz, R.H., Offer, D., Jarcho, H.D. A self-image questionnaire for young adolescents(STQY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i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3(2):93-111, 1984. https://doi.org/10.1007/BF02089104
  19. 김선희. 중학생이 지각한 양육행동과 자기상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2.
  20. Scheier, M.F., Carver, C.S., Bridge, M.W.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1063-1078, 1994. https://doi.org/10.1037/0022-3514.67.6.1063
  21. 조남미. 중학생의 낙관성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차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2.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1982.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23. 홍혜영.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24. 김주애.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25. 홍선심.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월경특성과 월경곤란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6. Campell, M.A., McGrath, P.J. Use of medication by adolescents for the management of menstrual discomfort.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1(9):905-913, 1997. https://doi.org/10.1001/archpedi.1997.02170460043007
  27. 윤태영. 여자 운동선수의 월경주기에 따른 심리적.신체적 증상, 균형능력, 관절이완성 및 성호르몬의 변화.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9.
  28. 장형주. 여고생의 월경전 증후군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및 위험요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9. 유병국. 여성 정신 질환자와 정상 여성의 월경 증상에 대한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30. 손광민, 차영아, 남상인.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아개념의 관계.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1: 131-153, 2008.
  31. 이정화, 유동열. 월경과다의 원인, 증상, 치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7(2):577-600, 1999.
  32. 김금원, 박병열. 월경전기증의 원인, 치법, 치방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3(1):1-26, 1989.
  33. 김철원. 월경전증후군에 대한 연구(II).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0(2):183-199, 1997.
  34. 박효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Jung의 심리학적 유형과 사상 체질 및 성격특성의 분석과 이의 비교연구. 心性硏究 15(2):87-177, 2000.
  35. 홍희택, 이태균. 월경부조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7(1):151-167,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