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ntitative Study on Growth of Social Enterprise in Korea - Focused on Financial Performance during 2007~2010 -

사회적기업의 성장에 관한 양적 분석 - 2007~2010년 경제적 성과를 중심으로 -

  • Kwag, Seon-Hwa (Department of Management,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3.03.18
  • Accepted : 2013.03.29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Social enterprise has moved from periphery to take center stage. Social enterprises are a truly global phenomenon and associated with solving social problems with business approaches. While the numbers of social enterprises have grown and their impact is likely to continue to do so, it would be dangerous to assume that the revolutionary momentum will automatically continue, because social enterprise faced sustainability challenges.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rom directory of Korean Social Enterprise to conduct a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growth of social enterprise in South Korea. This study conducted longitudinal analysis of 491 social enterprise certified between 2007 and 2010, of economic performance with financial index and social impact with employment structure. Though global financial crisis, Korean social enterprises show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increase in all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Korean social enterprises have provided meaningful work to those normally excluded from the labour market and tried to raise their life of working. In the future, Korean social enterprises should find a way to balance so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and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business.

자본주의가 우리 사회에 가져다준 효익도 많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다. 시장경제체제가 가지는 비효율적 경쟁, 소득불평등, 사회적 배제의 문제를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기 위해 포용적 자본주의가 제안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사회적기업이 자본주의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경제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이후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성장과정을 양적 지표로 분석하고 사회적기업의 성장이 갖는 의미를 분석해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은 774개소(2013년 1월 기준)로 역사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수적으로는 크게 성장하였다.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최근의 금융위기 등을 겪으면서 정부가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늘이기 위해 사회적기업에 다양한 지원을 펼쳤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종료되면 사회적기업은 자생력이 없어 지속가능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증 사회적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2007~2010년의 경제적 사회적 성과를 종단분석하여 사회적기업의 성과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은 총량적으로 성장하여 사회적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개별기업 차원에서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재정지원하는 일자리사업 대부분이 재정 투입 대비 효과성이 낮고 재정지원 종료 이후 지속가능하기 어렵다는 점과 비교할 때 사회적기업은 사업성과가 양호할 뿐만 아니라 생산적 복지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기업의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 상에 제시된 경제적 수치자료로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성과가 간과되고 있다. 사회적기업이 그 정의에 부합되는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경제적 성과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성과를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의 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기업의 종합적인 성과가 제시되어야 함을 연구의 한계로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