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iability Study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한국한의학연구원 개발 변증설문지의 신뢰도 연구

  • Kim, Bum-Su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im, Jung-Hwa (Dept. of Neuropsychiatry,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Min-He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Yun, Young-Ju (Dept. of Integrative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범수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 임정화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방신경정신과) ;
  • 이민희 (한국한의학연구원) ;
  • 윤영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동서협진의학)
  • Received : 2013.03.17
  • Accepted : 2013.04.18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s aimed at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PIQ)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and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PIQ by comparing the pattern identification scores of different groups. Methods We conducted a survey of 258 participants (79 teachers and 179 graduate students at one School of Korean Medicine)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ll the samples were reteste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assessed by Kappa coefficient(${\kapp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lso w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pattern identification scores according to sex, age and occupation. Results 1. One of 116 questions are impossible to calculate; 22 of them (18.97%) scored under 0.4 in ${\kappa}$; 90(77.59%) ranged from 0.4 to 0.8 in ${\kappa}$; and three questions (3.58%) scored 0.8 or over in ${\kappa}$. 2.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est score and retest score of all pattern identification items are 0.4 or over. 3. The mean score for pattern identification in women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in men, particularly in patterns of blood-deficiency, blood-stasis, yang-deficiency and kidney disease. 4. The mean score for pattern identification in the graduate student group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in the teacher group. Conclusion In test-retest reliability, the PIQ showed relatively high reliability. The mean pattern identification score showed differences in regards to retaining knowledge about Korean medicine. Therefore, future research involving modification of questionnaire items and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is questionnaire is required.

Keywords

References

  1. 임현주, 김석환, 이상룡, 정인철. 화병변증도구 개발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 22: 1071- 1077.
  2. 변준섭, 양수영, 강위창, 박양춘. 감모변증도구 개발에 대한 예비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 23: 1226-1231.
  3. 김규곤, 강창완. 한의학에서의 변증점수개발에 대한 가중주성분분석의 응용. 한국통계학회. 1999; 12: 17-28.
  4. 최선미, 박경모, 정찬길, 성현제, 안규석. 심병증 진단요건의 표준 설정을 위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 17: 345-351.
  5. 최선미, 양기상.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 화연구(한의학 정책 및 기초의료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5; 1: 201-235.
  6. 양기상, 최승훈, 최선미, 박경모, 정우열, 안규석, 엄현섭, 김성훈, 전병훈, 김정범, 권영규, 박종현, 김동희, 장혜욱, 김성우, 신승호, 신상우, 고현.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 II(표준화실례).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6; 2: 381-401.
  7. 최선미, 양기상, 최승훈, 박경모, 박종현, 심범상, 김성우, 노석선, 이인선, 정진홍, 이진용, 김달래, 임형호, 김윤범, 박성식, 송태원, 김종우, 이승기, 최윤정, 신순식.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 화연구III.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7: 3; 321-346.
  8. 김숙경, 남동현, 박영배. 현열변증설문지 개발을 위한 타당성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2; 6: 141-156.
  9. 고병희, 송일병. 사상체질변증 방법론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87; 8: 146-160.
  10. Earl R. Babbie. 사회조사방법론. 톰슨코포레이션코리아. 2007.
  11. 황인홍. 설문지에 의한 연구방법. 가정의학회지. 1994; 15: 30-35.
  12. 문진석, 박경모, 최선미. 한방건강검진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7; 13: 135-142.
  13. 송낙근, 김중길, 신선화, 김용호, 황규동, 안규석, 최선미. 설문지 통계분석을 통한 변증진단 객관화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5; 11: 127-138.
  14. 박영재, 박영배. 통계기법을 활용한 변증정량화 연구. 대한한의학진단학회. 2001; 5 306-330.
  15. 焦宏官, 崔蒙. 证候规范化的方法学研究概述. 中国中医药信息杂志. 2008; 15: 107-109.
  16. 배노수, 양동훈, 박영재, 박영배, 이상철, 오환섭. 열변증 설문지 개발.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6; 10: 98-108.
  17. 고흥. 중의변증론치와 동의보감의 변증론치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 18: 16-21.
  18. 양동훈, 박영재, 박영배, 이상철. 어혈변증설문지(瘀血辨證設問紙) 개발(開發).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6; 10: 141-152.
  19. 구병수, 이상재, 한창호, 김호준, 박세환. 가미귀 비탕(加味歸脾湯)의 우울증 투약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우울증 변증 설문지의 신뢰도 타당도 평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 20: 1-13.
  20. 박대명, 이상룡, 강위창, 정인철. 驚悸怔忡 변증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0; 21: 1-15.
  21. 이병희, 박영배, 박영재, 오환섭, 김민용. 歸脾湯 辨證設問紙의 信賴度 妥當度 硏究.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9; 13: 46-54.
  22. 윤태득. 補中益氣湯 변증 설문지 개발 및 타당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3. 조상원, 박영재, 박영배, 김민용, 이상철. 六味地 黃湯證 辨證設問紙의 信賴度 妥當度 硏究.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9; 13: 55-65.
  24. 권신애, 이정우, 김민정, 송지연, 성원석, 서병관, 우현수, 백용현, 박동석. 어혈변증 설문지를 통한 오십견의 어혈변증 평가 및 통증, 견관절 운동범 위와 어혈변증과의 관계. 대한침구학회지. 2011; 28: 49-55.
  25. 신동윤, 송정모. 사상체질 진단을 위한 2단계 설문지(TS-QSCD)의 표준화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9; 21: 99-126.
  26. 강병갑, 문진석, 최선미. 비만변증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 분석. 2007; 13: 109-114.
  27. 이인선, 김종원, 지규용, 이용태, 김규곤. 한방진 단설문지 DSOM(r) S.1.1의 신뢰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 19: 1146-1153.
  28. 김미진, 이인선, 조혜숙, 엄윤경, 유주희, 이용태, 지규용, 김규곤. 한방진단설문지 DSOM(r) S.1.1 의 Upgrade를 위한 신뢰도 연구. 2012; 26: 88-97.
  29. J Cohen. A coefficient of agreement for nominal sca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60; 20: 37-46. https://doi.org/10.1177/001316446002000104
  30. 탁진국.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학지사. 2011:103-106.
  31. 유종향, 장은수, 김윤영, 박기현, 이시우. 일본인 대상자를 통해 살펴본 KIOM 체질 설문지의 신뢰도 평가. 사상체질의학회지. 2012; 24: 8-18.
  32. Fless JL. Stastical method for rates and proportions. 2nd ed., N.Y.:John Willey & Sons. 1981: 212-235.
  33. 안재억, 유근영. SPSS 14K / 영문 SPSS 16 의학. 보건학통계분석. 서울:한나래. 2008: 379-384.
  34. Dapueto JJ, Francolino C, Gotta I, Levin R, Alonso I, Barrios E, et al. Evaluation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 questionnarie(FACT-G) In a south American Spanish Speaking Population. Psycho-Oncology. 2001; 10: 88-92. https://doi.org/10.1002/1099-1611(200101/02)10:1<88::AID-PON483>3.0.CO;2-S
  35. 허명희. SPSS 설문지 조사 입문. 서울:한나래. 2007: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