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Library Service

U-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 조찬식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3.01.11
  • Accepted : 2013.01.31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U-library service is a user-oriented library service through which users, after browsing and making reservations using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can borrow and return library materials at an unmanned circulation system located in places, such as subway stations, without visiting the library. However, the U-library service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hat, this study, in order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U-library service, conceptualizes the unmanned circulation system, investigates current situation by examining and analyzing some U-library service cases, and pinpoints some problems while making s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U-도서관 서비스는 기존에 방문을 통해서만 가능했던 도서 대출 반납서비스를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도서를 검색해 예약신청하고, 가까운 지하철역 등에 설치된 무인대출기를 통해 수령 및 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서비스이다. 그러나 U-도서관 서비스는 양적이나 질적으로 아직도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U-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활성화에 일조하기 위하여 무인대출서비스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무인대출서비스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무인대출서비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무인대출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둘째, 현재 무인대출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을 조사하여 무인대출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셋째, 무인대출서비스를 시행하는 도서관의 운영과정과 문제점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무인대출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필구. 2007. 이동형 RFID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0(4): 492-505. (Kang, Pil-Gu. 2007.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Portable RFID."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0(4): 492-505.)
  2. 구중억. 2010. 국내 도서관에서 바코드와 RFID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309-331. (Gu, Jung-Eok. 2010. "A Study on the Empowerment of Mobile Services using Barcodes and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in Korean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2): 309-331.) https://doi.org/10.4275/KSLIS.2010.44.2.309
  3. 김승아. 2004. RFID 시스템 도서관에서의 사서업무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im, Seung-A. 2004. A Study of Librarian's Work Change in Adapting RFID System. M.A.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4. 김연례, 이춘우, 최상기. 2008. RFID 시스템의 도서관 적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237-260. (Kim, Yeon-Rye, Lee, Chun-Woo, & Choi, Snag-Ki. 2008.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pplication of RFID System to the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4): 237-260.)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237
  5. 남재우, 남태우. 2010. 도서관 모바일 웹사이트의 콘텐츠 구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153-168. (Nam, Jae-Woo, & Nam, Tae-Woo. 2010.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ntents for Mobile Library Websi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4): 153-168.)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153
  6. 오세나, 이지연. 2012.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정보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9(1): 191-209. (Oh, Sena, & Lee, Jee-Yeon. 2012. "A Study on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of Smart Phone Us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1): 191-209.)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191
  7. 조윤희. 2010.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177-197. (Cho, Yoon-Hee. 2010.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Network for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2): 177-197.) https://doi.org/10.4275/KSLIS.2010.44.2.177
  8. 조찬식, 이혜영. 2012. "책단비" 도서대출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235-253. (Cho, Chan-Sik, & Rhee, Hey-Young. 2012. "A Study on "Chack DanBi" Library Circulatio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md Information Science, 23(2): 235-253.) https://doi.org/10.7465/jkdi.2012.23.2.235
  9. 조찬식, 조미아. 2011. 공공도서관의 이해와 분석. 서울: 에듀콘텐츠 (Cho, Chan-Sik, & Cho, Mi-A. 2011.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public library. Seoul: Educontents.)
  10. 최재황, 곽승진, 배경재. 2009. 도서관 RFID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3): 335-353. (Choi, Jae-Hwang, Kwak, Seung-Jin, & Bae, Kyung-Jae. 2009. "A Study on the Frequency Characterization of the RFID Systems in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3): 335-353.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