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a Clinical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in Healthcare Organizations -Focused on Patient Education

보건의료 조직의 협업적 의료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대한 연구 - 환자교육을 중심으로

  • 박화규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보건행정경영학과)
  • Received : 2012.08.20
  • Accepted : 2013.03.21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Communication errors have severe consequences clinical quality and disputes in medical organizations. Thus, clinical communication has become a major practice recently, since clinical and managerial effectiveness can also be enhanced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hysician, medical staff, and laboratories interactions. Both medium and large-sized hospitals are increasingly adopting the philosophy to shorten clinical service time while enhancing higher medical service quality and lower healthcare service costs. From this motivation, this paper studies on the clinical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ncept and investigates approaches to the philosophy for implementation. The system has been theorized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enhancing medical outcome qualities. In addition, to validate the system, the author analyzes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S hospital, using statistical survey works.

의료조직 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오류와 지연은 의료고객의 서비스 질 하락과 의료분쟁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따라서, 최근 협업적 의료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의사, 환자/보호자, 간호사, 실험실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뤄질 때 고효율 저비용 서비스는 물론 궁극적으로 병원의 경영성과에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동기에서 중소 및 대형병원에서 이 시스템 도입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기반의 협업적 의료커뮤니케이션(Clinical Collaborative Communication)시스템의 구현방법과 모델링을 통한 구현 연구 및 시스템 평가를 위해 S병원을 대상으로 계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