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lanting of a Seowon(書院) Made to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Status

진정성(authenticity)과 완전성(integrity)을 적용한 서원의 식재 실태

  • Lee, Won-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So-Hyu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Shin, Hyun-Sil (College of Urban and Environmental Sciences, Peking University)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이소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신현실 (북경대학 도시 환경과학원)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A purpose of this study, after identifying the status and type of changes derived elements that make up the Seowon(書院); landscape space and the space of the during the recent World Heritage, focusing promote the newly introduced trees listed in the important value, authenticity and integrity aspec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ppeared trees in various old documents are 10 species; Prunus persica (L.) Batsch, Prunus mume(Siebold) Siebold & Zucc., Salix koreensis Andersson. The planting space shows regularity of some degree depends on the status of the species, essentially 3 types of Juniperus chinensis L., Lagerstroemia indica L., Phyllostachys nigra(Lodd.) Munro are primarily located in inside of seowon(書院),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Salix koreensis Andersson is in out side of seowon(書院). 5 types of location space to species such as Juniperus chinensis L., Ginkgo biloba L. species are the most frequently appear and it can be national representative trees. Plants which have limited vitality is a factor to prove a history of seowon(書院), it is accord with authenticity aspects that it gives meaning of symbolic to canonized figure's preference Maintenance work carried out over the years has damaged to origin of tree and thoughtlessly planted without having to go through a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has resulted in weakening the presence of the essential space. It should preserve to features originally it have is figure reflect the viewpoint of the transformed current private to reveal the history of the various place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ontinues to study at the spatial dimension like a building in limited to panted, and also determine the intrinsic value of the overall spatial configuration.

본 논문은 최근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중에 있는 서원의 조경 공간 및 그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도출한 후 새롭게 도입된 수목에 대한 실태와 유형변화를 규명하고, 등재에 있어서 중요가치인 진정성과 완전성 측면으로 조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각종 고문헌에서 나타난 수목으로는 복사나무, 매실나무, 버드나무 등 10종이었다. 공간별 식재현황으로는 수종에 따라 어느 정도의 규칙성을 보였는데, 향나무, 배롱나무, 대나무(오죽) 등 3종류는 주로 서원의 본질적 공간(경내)에 위치하고, 느티나무, 버드나무는 주로 서비스 공간(경외)에 위치했다. 공간 구분 없이 위치하는 수종으로는 향나무, 은행나무 등 5종류로 이 수종은 전국 서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서원의 대표적 수목이라고 할 수 있다. 유한한 생장력을 가진 식물은 서원의 역사를 증명하는 요소이며, 배향인물(配享人物)이 선호했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부여되므로 진정성 측면에 부합한다. 수년간에 걸쳐 수행된 정비사업은 원형을 훼손시켰으며, 철저한 고증을 거치지 않고 무분별하게 식재된 수목으로 인하여 본질적 공간의 존재감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본래 가지고 있던 기능이 변화된 현재의 시점을 반영한 사적의 본 모습을 갖추어 나가 다양한 장소의 역사성을 잘 드러낼 수 있도록 보존해야 할 것이다. 이는 식물을 대상으로 한정된 것으로 향후 건축물 등 공간적 차원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 총체적인 공간구성에 대하여 본질적 가치를 판단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2010). 사적지 조경정비 기준확립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서원의 조경정비방안. 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서.
  2. 국립문화재연구소(2011). 국제포럼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서.
  3. 국립문화재연구소(2012). 국가지정문화재 민속마을의 외래식물현황과 관리방안. 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서.
  4. 권용찬 역(2008). 역사적 정원(플로렌스 헌장 1981), ICOMOS, 서울: 한국건축역사학회.
  5. 김태정(2007). 한국의 야생화. 서울: 교학사
  6. 박진재(2012). 세계문화유산 제도의 전개 양상과 운영의 추이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문화재청(2005).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 작성 매뉴얼. 문화재청 보고서.
  8.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2012).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유네스코 보고서.
  9. 이영노(2006). 한국식물도감. 서울: 교학사
  10.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11. http://www.korean.go.kr/09 (국립국어원 2013)
  12. http://www.aks.ac.kr/aks/Default.aspx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