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cognition of the Substitute Teacher System between Substitute Teachers by Public Funds Support and Substitute Teachers by Local Province Funds Support

대체교사 제도에 대한 국비지원과 도비지원 대체교사의 인식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 substitute teacher system between public funds support and local province funds support and to search for a policy guideline. The participants were 49 substitute teachers supported by public funds and 53 substitute teachers supported by local province fund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ubstitute teachers supported by public funds participated through an internet site but substitute teachers supported by local province funds participated through printed materials from the Childcare Information Center and ambient solicitors. The participating motive for substitute teachers were to work together in different roles. Secondly, Substitute teachers thought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substitute teachers was the flexibility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in childcare centers. Finally, substitute teachers by public funds support were satisfied with no overtime work but substitute teachers by local province funds were satisfied with experiences in various childcare centers.

본 연구는 경기도에서 활동 중인 국비지원 대체교사 49명과 도비지원 대체교사 53명 총 102명을 대상으로 대체교사 제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대체교사 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체교사 지원사업에 참여하게 된 경로로 국비 대체교사는 인터넷 사이트, 도비 대체교사는 보육정보센터 홍보물이 높게 나타났다. 국비와 도비 대체교사 모두 '다른 활동과 병행하기 위해서'가 대체교사 지원사업 참여 동기로 나타났다. 둘째, 국비와 도비 대체교사 모두 '어린이집의 다양한 상황에 융통성 있게 대응하는 것'을 대체교사의 자질로 중요하게 보았다. 셋째, 국비 대체교사는 초과근무가 없고 보육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다는 점을, 도비 대체교사는 다양한 어린이집 경험을 통한 전문성 향상과 초과근무가 없다는 점을 만족스러운 점으로 들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신문(2012. 2. 9). 어린이집 대체교사 지원제 사업 난항.
  2. 김영은(2012).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57-76.
  3. 김은영, 도남희, 조은경, 조혜주(2011). 육아지원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인력 운영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4. 김한나, 최지원, 송지연, 오유경, 유계숙(2011). 보육교사의 교사직 지속, 이직 이유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3), 91-116.
  5. 김혜금(2011). 보육교사의 건강상태, 건강행동과 보육의 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149-166.
  6. 문동규, 김영희, 허은경(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변인의 메타회귀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1), 213-234.
  7. 문정아(2007).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백선정, 김나은(2012). 경기도 어린이집 대체교사 지원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9. 보건복지부(2012). 2012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10. 안재진.김문정(2009). 보육시설 대체교사 지원사업의 효과 분석 및 운영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1. 여성가족부(2006). 보육시설 노동자 직무 및 근로환경 실태분석. 서울: 여성가족부.
  12. 여성신문(2012. 8. 24). '하늘의 별 따기' 대체교사 구인난 심각.
  13. 이경애, 이주연(2012). 시설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8, 187-210.
  14. 이순애, 성소영(2012).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과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아동교육, 21(3), 267-284.
  15. 이진화, 이승연(2011). 보육교사의 교사직 지속, 이직 이유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3), 91-116.
  16. 이희은, 김현익, 우연희, 김순호, 문수백(2012).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관련변인의 관계 구조분석: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 직장내 지지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75-97.
  17. 정영희, 이영숙(2012).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민감성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107-132.
  18. 조성연, 백은주, 김혜금, 권연희, 정지나(2010).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 개발을 위한 타당화 예비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5), 89-100.
  19. 조성연, 백은주, 김혜금, 권연희, 정지나(2011).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의 표준화를 위한 타당화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1-12.
  20. 황해익, 박성미, 김정신, 박선해(2008). 보육교사 승급보수교육에 대한 교사와 시설장의 인식 조사. 한국영육아보육학회지, 53, 173-198.
  21. Lassmann, M. E. (2001). Defining the role of the substitute teacher. Education, 121(3), 625-628..
  22. Longhurst, .M. L. (2000). Enhance one year of education. SubJournal, 1(1), 40-47.
  23. Nakai, K., & Turley, S. (2003). Going the alternate route: Perceptions from non-credentialed teachers. Education, 123(4), 831-846.
  24. Purvis, J. R., Garvey, R. C. (1993)., Components of an effective substitute teacher program. Clearing House, 66(6), 370-373. https://doi.org/10.1080/00098655.1993.11478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