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enting Stress, Job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in Nurses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와 양육 행동

  • 유광자 (경남도립거창대학 간호학과)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job stres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in nurs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201 nurses in total who have preschool children and work at two university hospitals and three general hospitals in D Metropolitan.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SPSS 17.0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the statistical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for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in the mothers. Among daily lived stress, parental role stress and job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d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daily life stress, job stress and parental role stress had an influence on the paren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renting stress, job stress are powerful factors for understanding parenting behavior. An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nurses in future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parenting stress and job stres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직무 스트레스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 행동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D 시에 소재한 대학병원 2개소, 종합병원 3개소의 만 3~6세 사이의 간호사 어머니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 행동, 양육 스트레스,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어머니의 직무 스트레스,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이들 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나이와 양육 행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양육 행동은 양육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 스트레스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양육 행동과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일상생활 스트레스, 부모 역할 스트레스 및 직무 스트레스가 간호사 어머니의 양육 행동을 16%를 설명해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간호사 어머니의 양육 행동에 직무 스트레스와 양육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혔으며 간호사의 긍정적인 양육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양육 스트레스와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고 사회적 지지 체계를 강화시킬 것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순, 이국향(2010). 부모의 양육 행동, 자아 존중감, 부모 효능 감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8(1), 157-184.
  2. 김기현, 강희경(1997). 양육 스트레스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3. 김기현(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수현(2004). 영유아 자녀를 가진 종합병원 근무 간호사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현미,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 효능 감 및 양육 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6. 김현희, 박천만, 이종렬, 신효순(2009). 어머니가 지각하는 Parenting Daily Hassles가 양육 스트레스 및 부적절한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모자보건학회지, 13(2), 207-219.
  7. 김은정, 백혜정(2007). 이혼으로 인한 가족상실, 경제소득 및 양육 행동의 변화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9(3), 79-103.
  8. 구미옥, 김매자(1984) 간호사가 근무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연구. 간호학회지, 41(2), 28-37
  9. 김미영(1995) 간호사 이직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 34(4), 54-69.
  10. 고율희(2001). 자녀의 성, 어머니의 취업 여부 및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양육신념과 양육 행동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권영순(2006). 취업간호사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직무 및 가족 관련 변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문영숙, 한진숙(2002). 어머니의 자녀 양육 행동이 아동문제에 미치는 연향. 한국 모자 보건학회지, 5, 161-176.
  13. 박영애, 최영희, 박인전(2002). 어머니의 성격특성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양육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과 아동의 지각 차이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3(2), 71-88
  14. 백영숙(2007).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죄책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신숙재, 정문자(1998).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 감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16. 선종욱, 오병섭, 황덕수, 김종윤(2010). 직무 스트레스 개론.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17. 이현옥, 김정주(2011). 예비 유아교사의 양육신념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6(1), 89-104.
  18. 이은주(2010). 영아기 비 취업모 취업모의 자녀양육 행동과 자녀양육지원에 관한 질적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유희균(1994). 기혼취업여성의 가정 내 역할에 관한 연. 간호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유광자, 이경희(2012). 정신보건센터에 근무하는 정신보건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1(2), 108-115.
  21. 윤지원, 조현화(2011). 미취학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행동 구조모형. 아동간호학회지, 17(2), 111-119.
  22. 이영훈, 이종인(2008). 영아기(0-36개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수용-거부 및 통제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탐색. 한국여성교양학회지. 17, 87-119.
  23. 이현실, 문희자(2001)임상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 스트레스학회지, 9(2), 61-74.
  24. 안지영(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 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 53-68.
  25. 정옥분, Rubin, K., 박성연, 윤종희, 도현심(2002). 걸음마기 아동의 행동억제;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 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3(4), 71-88.
  26. 정의정, 도복늠(2002).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 감 및 건강증진 행위. 정신간호학회지, 11(3), 398-405.
  27. 전우경, 강정원(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1980년대 초반과 2000년대 중반의 차이연구. 한국교육문제 연구, 25(2), 61-84.
  28. 편은숙(2004).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어머니 역할인식과 자녀양육 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통계청(2011). 경제활동인구.
  30. http://kosis.kr/gen-et1/start.jsp?orgld=101&tb1ld=DT-1DA7012&conn-path=12&path
  3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PSI).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32. Abidin, R. R.(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Th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1-412.
  33. Becker, W. C. (1964). Consequence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174-175.
  34. Belsky, J., & Kelly, J.(1994).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how a first child changes a marriage. New York, NY: Bantam Doubleday Dell Publishing Group, Inc.
  35. Byron, K.(2005).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 169-198. https://doi.org/10.1016/j.jvb.2004.08.009
  36. Cm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https://doi.org/10.2307/1130770
  37. Lawton, J. T., Schuler, S. G., Fowell, N., & Madsen, M. K. (1984). Parents perceptions of actual and ideal child-rearing practice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45, 76-87.
  38. Luster, T., & Okagaki, L (1993). Parenting : An ecological perspectiv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ers. NJ.
  39. Nicki, L. P., & Barbara, H. M. (2007). Pediatric nursing: Caring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2nd ed.). Clifton Park, NY: Thomson Learning Inc.
  40. Mercer, R. T. (1985). The process of maternal role attainment over first year. Nursing Research, 34, 198-203.
  41. Rohner, R. P.,Hann, B. C., & Rohner, E. C.(1980). Social class differences in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self-evaluation among Korean American Children. Behavior Science Research, 15, 55-66. https://doi.org/10.1177/106939718001500105
  42. Shreffler, K. M., Meadows, M. P., & Davis, K. D.(2011). Firefighting and fathering: Work-family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parenting and child behavior. Fathering, 9(2), 169-188. https://doi.org/10.3149/fth.0902.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