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유형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유아의 과학활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mall Group's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n Young Children's Science Activities

  • 발행 : 2013.02.28

초록

본 연구는 협력적인 탐구과정이 요구되는 과학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성격 유형별 소집단과학협동학습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S유치원과 J유치원 만 5세를 대상으로 K-ABC 인지능력 검사와 MMTIC 성격유형 검사를 통해 각 기관별로 15명씩 총 30명을 EI지표에 따라 E(외향성)집단과 I(내향성) 집단의 성격유형 동질집단과 EI 혼합집단인 이질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과학적 태도는 공변량분석(ANCOVA), 과학적 지식 발달은 빈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성격 유형별 동질집단과 이질집단 간 과학적 지식발달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성격 유형별 동질집단과 이질집단 간과학적 태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E동질집단과 I동질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I동질집단과 이질집단, E동질집단과 이질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I동질집단이 과학적 태도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집단구성이었다.

This study focused on science activities that need collaborative inquiry process and evaluate the effects of small group's science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n young children's science activities. The subjects are 30 five-year-old kindergarteners. They have been divided equally into three groups, extroversion(E), interversion(I), and heterogeneous group of EI mixed group depending on EI indicators through K-ABC cognitive ability tests and MMTIC personality types targeting. Both of groups have 10 members each. For data analysis, scientific attitude was analyzed with ANCOVA, scientific knowledge development was done with frequency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scientific knowledge development between the homogeneous group and heterogeneity group in small group's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the results of a Scheffe post-hoc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 and I homogeneous group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 homogeneous group and the heterogeneity group, and between E homogeneous group and the heterogeneity group, I homogeneous group had the most effective group composition in scientific attitude improv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영남(2002). 협동학습 전략과 집단편성 방법에 학습자의 학습능력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2007). 유치원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 자원부.
  3. 김남균(1998). 집단구성방법과 인지양식에 따른 수학과 소집단 협동학습의 효과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성희(2009). 개념기반 창의적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수연, 조혜진(2008).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 기질 및 언어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과의 관계. 아동교육, 17(2), 91-101.
  6. 김수영(2000). 유아의 또래수용도, 놀이상호작용 및 놀이형태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0(3), 47-65.
  7. 김정주(2008). 동화를 통한 과학교수-학습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7(2), 125-136.
  8. 김향숙, 남경인(2008), 청소년의 학습성격유형과 학습행동에 관한연구. 아동가족치료연구, 6(1), 33-50.
  9. 김효진, 권민균(2007). 유아의 또래 친밀도에 따른 상호주관성의 차이. 아동학회지, 28(4), 19-33.
  10. 남영만, 심대현(2001). 성격유형별 소집단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교육문제연구, 11(2).
  11. 노태희, 박수진, 임희준, 차정호(1998). 협동 학습 전략에서 소집단 구성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61-70.
  12. 박미자, 정상녀, 박형신(2010). 소집단 협동 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0(1), 121-146.
  13. 박화윤, 천은영(2004). 유아의 성격유형에 따른 놀이성에 관한연구. 영유아보육학회지, 37, 109-126.
  14. 배진호, 김언경, 김재영(2004).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과학적 태도 분석과 이들의 상관관계 연구 초등과학교육, 23(1), 1-7.
  15. 서영선(2005). 조형활동을 통한 협동학습에서 사회적 능력별 집단구성에 따른 또래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성충헌(1997). 학습자의 성격특성에 따른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관련 태도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신은수(1993). 유아교육의 교수방법으로서 협동학습 활동이 유아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 유아교육연구, 13(1), 133-147.
  18. 신은수, 김은정(1994). 소집단 교수법의 전개유형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14(2), 79-96.
  19. 안병근(2006). 성격유형이 대학생의 경제학성적에 미치는 영향. 경제교육연구, 13(2), 137-158.
  20. 오윤숙, 박성신(2008).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성격유형별 집단구성방법이 수학적 태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22(2), 211-227.
  21. 윤주경(2004). 수준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경민(2001).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4), 261-283.
  23. 이수련(2009). 협동학습에서 유아의 인지수준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9(1), 57-82.
  24. 이숙영(1994). 공동작업의 경험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숙현(1995). 협동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문제 해결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애경(2002). 유아와 상대유아의 기질에 따른 사회적 상호작용 분석.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임채성, 이은희, 김재영, 김남일(2007). 과제의 탐구요구 수준에 따른 초등생명 영역의 협동학습에서 상호작용 양상 및 효과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704-719.
  28. 장경문(2007).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내외향적 성격특성에 따른 자기결정성 및 학업성적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20(1), 165-179.
  29. 장수진(2008). 유아의 기질, 인지능력, 실행기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전문숙(2001). 문제해결을 위한 토의활동이 유아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1. 정해원(2007). 수준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교과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2. 조경란(2002). 동질집단과 이집집단 속에서 나타나는 학생간의 수학적 의사소통의 분석. 순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조승윤(2002). 또래수용도에 따른 취학전 아동의 사회적 행동 특성과 또래간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조형정(1998). 협동학습을 위한 집단구성이 아동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5. 최인숙, 천은영(2005). 유아의 성격유형에 따른 놀이 형태와 상호작용적 또래 놀이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169-186.
  36. 황동숙(2001). 또래간 협동학습이 유아의 과학적 행동, 과학적 언어사용,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Action, W. J., Johnson, P. J. & Goldsmith, T. E.(1994). Structural Knowledge assessment: Comparison of referent structur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 303-311. https://doi.org/10.1037/0022-0663.86.2.303
  38. Guilford, J. P(1959). Personality, New York; Mc Graw, Hi.
  39. Inagaki,K.(1992). Piaget and post-Piaget conceptions of development and their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 115-133.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022-Q
  40. Lind, K. K.(1997). Science in the developmental appropriate integrated curriculum. In C. H. Hart, D. C. Burt, & Charles worth (Eds.). Integrated curriculum and developmental appropriate practice: Birth to age eight. Albany, NY: SUNY Press.
  41. Liu, K. C., & Greathouse, N. J.(1992). Early experience of cooperative learning in preschool classroom. Contemporary Education, 63(3), 195-200.
  42. Lomask, M., Baron, J. B., Greig, J. & Harrison,C.(1992). Conn Map: Connecticut's use of concept mapping to assess the structure of student's knowledge of sci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Cambridge.
  43. Martin, D.J.(1997).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NY: Del mar Publishers.
  44. MCTM(1998).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Inc.
  45. Wing-Yi Chen, R., Lam, S., & Chung-Yan Chan, L. (2008). When high achievers and low achievers work in the same group: The roles of group heterogeneity and processes in project-based learn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2), 205-221 https://doi.org/10.1348/000709907X218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