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경험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the Deaf

  • 투고 : 2013.02.18
  • 심사 : 2013.04.22
  • 발행 : 2013.05.31

초록

이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경험은 '홀로 소리없는 세계에 갇힘', '소통하는 법을 터득함', '농사회구성원으로 정체성을 찾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경험을 "소리없는 혼자만의 세계에서 통(通)함을 배우고, 들을 수 있는 사람이 아닌 '잘 볼 수 있는 사람인 농아인'으로서 동병상련(同病相憐)의 정(情))을 나누며 살아감"으로 맥락화하였다. 홀로 소리없는 세계에서 소통을 경험하게 하는 중요한 도구는 수화였으며, 이는 청각장애인들이 세상과 소통을 배우고 이해하게 하는 가장 핵심적인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화를 통한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경험은 사회로 한발을 내딛을 수 있는 힘이면서, 스스로를 들을 수 없는 사람으로부터 잘 볼 수 있는 사람으로 정체성을 변화시키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사회 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the deaf, from their perspective. This study obtained informat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people with deafness using sign languag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Giorg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s. The following main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nterviewed: 'being confined in the world without sound by themselves', 'learning and comprehending how to communicate', and 'looking for identity as a membership of the deaf community'. Sign language was a tool and mediator so that they could come out of their comfort zone, communicate with people, and connect to others in the deaf community. However, on the other hand, sign language had a contradictory role that restricted their activities to the deaf societies that could understand each other using sign languag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be cognizant of how much not hearing and speaking(hearing disability) is a difficulty for human being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s results on policy making and actual practices are discussed focusing on the rights and well-being of the deaf.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