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우량경보시설 경보발령기준 정량화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안재찬, 이종설, 최우정, 이병주(2008), 자동우량경보시설 경보발령기준 검토 연구, 한국방재협회논문집, 제8권4호, pp.101-109.
  2. 이승렬(2005), GIS를 이용한 돌발홍수기준 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공학석사학위논문
  3. 윤종주(2010), 자연재난관리를 위한 통합형 조기경보모델, 숭실대학교, 공학석사학위논문
  4. 김기준(2006), GIS와 GIUH를 이용한 산악지형의 돌발홍수 유출에 대한 해석, 전남대학교, 공학석사학위논문
  5. 추태호(2004), 자동우량경보시설 운영방안 제안에 관한 연구, (주)한성전자산업개발
  6. 행정자치부 & 국립방재연구소. (1998), 지리산 일원 호우피해 조사 및 분석, pp.89-95.
  7. Bras, R.L. (1990). HYDROLOGY An introduction to Hydrologic scienc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assachusetts.
  8. Gustavo Devoto, Ignacio Rodriguez-Iturbe, and Iuan B. Valdes (1979). "Discharge Response Analysis and Hydrologic Similarity: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Geomorphologic IUH and the Storm Characteristic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15, pp.1435-1444. https://doi.org/10.1029/WR015i006p0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