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Elements Used for Daewungjeon Hall in the Bukjijangsa Temple, Daegu, Korea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식별

  • Yeon, Jung-A (Tree-Ring Material Bank,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Won-Kyu (Department of Wood and Paper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연정아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부설 목재연륜소재은행) ;
  • 박원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목재.종이과학과)
  • Received : 2013.01.03
  • Accepted : 2013.05.23
  • Published : 2013.05.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es of 117 wooden elements which were used in the Daewungjeon Hall (National Treasure No. 805, constructed in A. D. 1659) of Bukjijangsa Temple, Daegu, Korea. Pillars were identified as 5 red pines (hard pines; most likely, Pinus densiflora S. et Z.), 2 Cerris section of subgenus Lepidobalanus (deciduous oaks) and 3 Tsuga spp. Hwalju columns were 3 Abies spp. and 1 red pine. Head-penetrating ties were 8 red pines and 1 Cerris sp.; Pyeongbang, 3 red pines and 6 Cerris spp. Purlins were identified as 17 red pines, 16 Cerris spp. and 1 Tsuga sp. Angle rafters were 3 red pines and 1 Cerris sp., and end angle rafters, 2 red pines, 1 Zelkova serrata and 1 exotic hard pine. All of brackets (31 woods), jangyeo (4) and deot-chunyeo (2) were identified as red pines. As a whole, red pines (70.1%) and Cerris (22.2%) were major species used in the Daewungjeon Hall of Bukjijangsa Temple. Tsuga, Abies and exotic hard pines seem imported woods used for recent repairs.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보물 제 805호, 1659년 건축)에 쓰인 주요 목부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창방, 평방, 도리, 추녀 등 총 117점을 조사하였다. 수종 식별 결과, 기둥 부재의 경우, 소나무류(적송류) 5개, 상수리나무류 2개, 솔송나무속 3개 등의 세 수종으로 식별되었다. 활주는 4개 중 1개는 소나무류이고, 나머지 3개는 전나무속으로 식별되었다. 창방은 소나무류 8개, 상수리나무류 1개로, 평방은 소나무류 3개와 상수리나무류 6개로 식별되었다. 도리는 소나무류 17개, 상수리나무류 16개, 외래산 소나무류 1개 등 세 수종으로 식별되었다. 추녀는 3개가 소나무류, 나머지 1개가 상수리나무류로, 그리고 사래는 소나무류 2개, 느티나무속 1개, 외래산 소나무류 1개로 식별되었다. 포부재(31개)와 장여(4개), 덧추녀(2개)는 모두 소나무류로 식별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소나무류(70.1%)와 상수리나무류(22.2%)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기둥, 도리, 사래 등의 일부에 사용된 솔송나무속과 외래산 소나무류 그리고 활주에 사용된 전나무속은 근래의 보수 시에 사용된 수입산 수종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규, 박원규. 2007. 영릉(효종대왕) 재실과 정자각 목부재의 연륜연대와 건축편년. 한국건축역사학회 2007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57-260.
  2. 김상혁. 2006. 세계원목도감. (주)한국목재신문사. 503-506.
  3. 김소희, 이진경, 정성호, 전수경. 2005. 수타사 대적광전의 기둥식별. 2005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80-283.
  4. 대구광역시 동구. 2012.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 실측.해체수리보고서. (주)서홍기술건축사사무소. p. 533.
  5. 문화재청. 2005. 문화재 수리표준시방서. p. 343.
  6. 박병수, 정성호, 서준원. 2004. 진남관 기둥부재의 수종 구성. 한국목재공학회 2004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17-219.
  7. 박병수, 박정환. 2005. 주요 목조문화재의 수종구성.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5(14) p. 150.
  8. 박병수, 정성호, 박정환, 서준원. 2005. 목조문화재 기둥부재의 수종구성 I.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84-286.
  9. 박상진. 1983. 범어사 및 무량사 고건축재의 구조와 수종. 보존과학연구 4; 59-69.
  10. 박상진. 1984. 무위사 극락전 고목재의 수종. 강진 무위사극락전수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105-114.
  11. 박상진, 이원용, 이화형. 1987.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p.385.
  12. 박상진, 정기호, 김재우. 1999. 고려대장경 경판전 기둥의 재질. 목재공학 27(1): 1-8.
  13. 박상진. 2000. 출토 및 목조문화재의 수종. 목조문화재와 전통종이의 수종과 재질에 관한 국제 세미나 프로시딩. 충북대 농업과학기술연구소(편). 31-37.
  14. 박상진. 2011. 문화와 역사로 만나는 우리 나무의 세계 2. 김영사. p. 572.
  15. 박용안, 공우석 외 24인. 2001. 한국의 제4기 환경. 서울대학교출판부. p. 564.
  16. 박원규, 이진호, 서정욱, 김요정. 2000. 고목재 나이테를 이용한 경회루 건축연대측정과 재질분석. 경회루 실측 조사 및 수리보고서. 문화재청(간): 326-332.
  17. 박원규, 김세종. 2004. 경복궁 근정전 목부재의 수종분석. 목재공학 32(1): 88-95.
  18. 박원규, 김요정, 김상규, 이기성. 2004. 연륜연대측정 및 수종분석. 강화 정수사법당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 323-325.
  19. 박원규, 남태광. 2005. 영광 불갑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목재공학 33(3): 11-21.
  20. 박원규, 이광희. 2007. 우리나라 건축물에 사용된 목재 수종의 변천. 건축역사연구 16(1): 9-28.
  21. 박원규, 정현민, 김상규. 2008. 안성 석남사 영산전 목부재의 수종 분석. 목재공학 36(1): 1-11. https://doi.org/10.5658/WOOD.2008.36.1.001
  22. 엄영근, 허광수, 김화성. 2003. 고건축물(광주 고원희 가옥) 구조부재의 수종식별.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12-115.
  23. 엄영근, 허광수. 2010. 기흥 농서리유적에서 발굴된 신석기시대 목탄의 목재 식별. 목재공학 38(4): 275-281. https://doi.org/10.5658/WOOD.2010.38.4.275
  24. 이도원(편). 2004. 한국의 전통생태학. 사이언스북스. 268-280.
  25. 이창복. 1984. 수목학. 향문사. p. 331.
  26. 이필우. 1994. 한국산 목재의 구조. 정민사.
  27. 이필우. 1997. 한국산 목재의 성질과 용도 I-목재의 구조 및 성질과 용도. 서울대학교 출판부. p. 623.
  28. 임업연구원. 1994. 한국산 주요목재의 성질과 용도.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95호.
  29. 전영우. 200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소나무. 현암사. p. 54.

Cited by

  1.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Elements Used for Daewungbojeon Hall in the Magoksa Temple, Gongju vol.43, pp.3, 2015, https://doi.org/10.5658/WOOD.2015.43.3.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