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수컷, 4개월령 단모종 고양이가 배뇨곤란 및 혈뇨 증상으로 수컷, 4 년령 단모종 고양이가 배뇨곤란 증상으로 각각 내원하였다. 고양이 1에서 포피 부종, 포피 구멍 주위 발적, 포피 구멍 내 소변 저류를 확인 하였고 작은 포피 구멍으로 인해 음경이 포피 밖으로 배출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고양이 2에서는 포피 구멍 주위 피부 괴사, 작은 포피 구멍, 포피 구멍 내 소변 저류를 확인 하였다. 작은 포피 구멍의 확장과 발적 또는 괴사된 포피 구멍 주위 피부의 제거 그리고 과도하게 부어 오른 포피 점막 제거를 위해 포피 구멍 주위 피부의 둥근 모양 절제를 실시하였다. 절제 된 포피 점막과 같은 쪽 피부 가장 자리를 봉합 하였다. 수술 후 정기 검진은 신체 검사를 통해 각각 22개월 및24개월 동안 실시 되었으며 배뇨 곤란 및 혈뇨 증상이 관찰 되지 않음을 확인 하였다. 포피 구멍 주위 피부의 둥근 모양 절제술은 포피 폐쇄증을 보이는 두 마리 고양이에서 포피 구멍 확장을 통한 음경의 포피 밖 배출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포피 주위 피부 및 점막이 괴사 되어 둥근 모양 절제가 필요한 경우에 더욱 유용할 것으로 사료 된다.
A 3-month-old male domestic shorthair cat was presented for evaluation of stranguria and hematuria and a 4-year-old male domestic shorthair cat was presented for evaluation of stranguria. For cat 1, a swollen prepuce, erythematous preputial orifice, and urine pooling from the preputial orifice were noted. The preputial orifice was a pinpoint opening and penis was not extruded from the prepuce. For cat 2, a necrotic skin around the preputial orifice, small preputial orifice, and severe urine pooling from the preputial orifice were noted. The round-shaped resection of the tip of the prepuce was performed to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preputial orifice and remove erythematous fragile skin or a necrotic skin around the preputial orifice and the edematous, redundant preputial mucosa in these 2 cats. The preputial mucosa was then apposed to the ipsilateral incised skin edge. There was no recurrence of clinical signs over 22- and 24-month follow-up period, respectively. The round-shaped resection technique provided adequate enlargement of the preputial orifice to allow extrusion of penis in these 2 cats with a phimosis. This technique could be helpful in cases with skin and mucosa necrosis around the preputial orifice that require round-shaped re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