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ignificance of the " GukMinSoHakDokBon", published in 1895, on the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1895년에 발간된 "국민소학독본"의 과학교육사적 의의

  • Received : 2013.01.24
  • Accepted : 2013.04.12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GukMinSoHakDokBon", published in 1895, is the first national textbook designated by the Education Institute. Ten of the 41 chapters consist of scientific contents. In this thesis, some the contents are reviewed in detail and studied to see what significance it has in view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tific contents described in "GukMinSoHakDokBon" include Plants Change, Clock, Camels, Wind, Hive, Respiration, Crocodiles, Nature of Animals, and Chemical Elements. For that kind of diversity, it was told that "GukMinSoHakDokBon" was not considered for normal students, and there were many ambiguities due to in sufficient explanations. Some of the contents were even technically wrong. So it has been noted that the scientific contents of "GukMinSoHakDokBon" have more significance in providing new information at that time but not in understanding newly-organized scientific knowledge.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early science education in Korea is composed of the methods of reading "GukMinSoHakDokBon". This is a common figure, which can be found in "Willson's Reader", the elementary reading textbook in the U.S. in the 1860's or "小學讀本"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Japan. One thing remarkable is "GukMinSoHakDokBon" induced students' interests through the use of storytelling method for introducing some unfamiliar scientific knowledge. There is no doubt that "GukMinSoHakDokBon" has a very positive role in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and intelligence. These advantages are being actively applied in the present model of storytelling education these days. Therefore, "GukMinSoHakDokBon" can be regarded as both a language textbook and an early figure in science education, and it can be also considered that "GukMinSoHakDokBon" has a significance not only in approaching scientific substances theoretically but in using storytelling methods to deliver unfamiliar and strange knowledges to students.

"국민소학독본"의 과학 내용을 살펴보고 과학교육사적으로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 연구하였다. "국민소학독본"은 1895년 학부에서 편찬하여 발간한 최초의 국정 교과서이다. 전체 41개 과 중 10개 과가 과학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시되어 있는 과학 내용은 식물변화 시계 낙타 바람 벌집 호흡 악어 동물천성 원소이다. 다양한 분야의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지 못한 어려운 내용도 있으며, 설명이 자세하지 않아 이해가 어려운 부분도 있다. 일부 잘못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국민소학독본"의 과학 내용은 과학 지식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이론적 측면에서가 아니라, 내용을 소개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더 의의가 있다. "국민소학독본"을 통해 우리나라 초기 과학교육이 통합 교과서적 성격을 가진 교과서를 읽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1860년대 미국의 초등 읽기 교과서로 사용되었던 "Willson's Reader"나 일본 문부성이 발간한 "소학독본(小學讀本)"의 예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과학교육 초기의 공통된 모습이다. "국민소학독본"은 생소한 과학 내용을 이야기 형식으로 전달하여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하였다. 이야기 형식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것은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은 오늘날 스토리텔링 학습의 모습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적용되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국민소학독본"은 국어 교과서로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초기 과학교육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과학 내용을 이론적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새롭고 생소한 내용을 이야기로 전달했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렬(201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중학생들의 인체 구조와 기능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1), 18-30.
  2. 김동필(1976). 한국 과학교육의 시대적 변천. 과학교육연구논총 제1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3. 김만곤(1979). 國民小學讀本 考- 그 出現의 背景에대하여. 國語文學, 20, 295-316
  4. 김정흠(1977). 한국물리학사. 한국현대문화사대계 III과학∙기술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5. 김희준 외(2012). 고등학교 과학. 상상아카데미.
  6. 김혜정(2004). 근대적 텍스트의 구조적 특성과 함의 -'國民小學讀本'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113, 203-232.
  7. 박붕배(1987). 한국국어교육전사(상). 대한교과서주식회사.
  8. 박승재(1984). 과학교육론 과목의 교수모형과 교재개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 44-56.
  9. 박종석(1998). 개화기 과학 교과서의 발간실태와 내용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송진웅, 조숙경(2001). 영국 학교 과학교육의 개척자T.H.Huxley - 생애와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38-58
  11. 송민영(1997). 韓國理科敎育の成立と展開. 동경도립대학 박사학위논문.
  12. 오윤겸(1971). 과학교육의 사적고찰(1)-개화기에서 해방 전까지-. 제주교육대학논문집 제2집.
  13. 유미진(2004). 日本近代飜譯漢字語의 生成과 受容硏究- 國民小學讀本에 수록된自然物및 自然現象을 나타내는 漢字語를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연구, 51(1),135-156.
  14. 육수화(2011). 대한제국기 황실교육 연구, 국학연구,19, 609-638
  15. 윤치부(2002). 국민소학독본의 국어교과서적 구성양상과 그 의미. 새국어교육, 64, 171-194.
  16. 이면우(1997). 한국 근대교육기(1876-1910)의 지구과학교육.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전용호(2005). 근대 지식 개념의 형상과 국민소학독본. 우리어문연구, 25, 243-264
  18. 허형(1993). 韓國開化基礎의 敎科書(國民小學讀本)에나타난 主題分析(I). 교육과정연구, 12, 112-121.
  19. Marcius Willson(1863). The Third Reader of the School and Family Series. Harper & Brothers.
  20. Marcius Willson(1863). The Fourth Reader of the School and Family Series. Harper & Brothers
  21. Marcius Willson(1864). The Fifth Reader of the School and Family Series. Harper & Brothers
  22. 文部省(1873). 小學讀本. 文部省.
  23. http://stdweb2.korean.go.kr(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4.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 =scienceTermsList&bbsid=619&diccode=CS001046&glgub un=가&titlegubun =K&chartxt=가(사이언스올 과학백과 사전
  25. http://encykorea.aks.ac.kr(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6. http://preview.britannica.co.kr(브리태니커 온라인)
  27. http://www.doopedia.co.kr(doopedia 두산백과)

Cited by

  1. MORAL EDUCATION, MODERNIZATION IMPERATIVES, AND THE PEOPLE’S ELEMENTARY READER (1895): ACCOMMODATION IN THE EARLY HISTORY OF MODERN EDUCATION IN KOREA vol.18, pp.2, 2013, https://doi.org/10.18399/acta.2015.18.2.001
  2. Study on the Authorized Japanese Textbook “Kotoshogakudokuhon” Concerned with the Natural Sciences vol.115, pp.None, 2013, https://doi.org/10.15532/kaja.2018.05.115.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