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예술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ual Change of High School of the Arts Students through Explicit Instruc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 투고 : 2012.11.02
  • 심사 : 2013.03.09
  • 발행 : 2013.04.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예술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명시적으로 과학의 본성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 이전과 비교하여 개념이 변화된 과학의 본성 요소를 찾아 변화 유형별로 고찰하였다. 학생들에게 어떤 과학의 본성 요소가 변화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의 본성 검사(VNOS-C)를 실시한 결과 실험탐구 집단은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 및 '과학지식의 잠정성'의 요소가, 과학사 집단은 '과학지식의 잠정성' 및 '과학의 사회문화적 내재성'의 요소가 유의미한 개념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명시적 수업의 구체적 내용과 관련된 변화이며, 각각의 수업 전략이 강조하는 점이 과학의 본성 요소에 영향을 끼친 것이다. 과학의 본성 요소의 개념 변화를 가져온 구체적 원인을 밝히기 위해 10명의 초점학생들을 선별하여 면담을 진행하였고, 과학의 본성 요소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원인과 그에 따른 영향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은 명시적 수업의 효과로 현대의 과학 철학적 관점으로의 통합적이고 심층적인 개념 변화가 있었으나, 분석 결과 학생들은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의 요소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론과 법칙의 차이'의 요소에 대해 피상적으로, '과학의 사회문화적 내재성' 역시 불완전하게 이해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 상상력의 특징'의 요소에 대해서 학생들 자신이 인식하고 있는 창의성의 정의에 따라 창의성이 관여하는 탐구 단계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예술 고등학생들에게 실험탐구와 과학사 전략을 적절히 사용함으로 각기 다른 과학의 본성 요소를 현대의 과학 철학적 관점으로 양적 질적 측면에서 변화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하여 예술 고등학생들이 구성주의적인 과학의 본성에 대한 개념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 학생들의 개념생태와 수업전략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학교 현장에서도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 수업에 대한 과학 교육 과정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하겠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ual change among students majoring in arts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apply the results to scie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results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ptitude and teaching method.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to first grade students explicitly, experimental inquiry strategy was applied to fine arts students, and teaching strategy of scientific history to music students. To find out which elements of the nature of science have come into view on modern philosophy of science, pre and post tests on the nature of science (VNOS-C) were conducted on the students. To find out specifically why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have changed,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students who showed changes in their views on the element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by using experimental inquiry strategy and strategy of scientific history properly, it is possible to change students' viewpoints on the element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on modern philosophy of science. Through explicit instruction, we were able to find some positive conceptual changes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modern philosophy of science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This shows that the students studying arts are experiencing a constructivist conceptual change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that conceptual ecology and learning strategy are involved in this proces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offers an important implication in organizing science education on the nature of sci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 (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2. 기현희 (2008). 전력 학습에 관한 중학생의 어려움 이해: 개념생태 이론과 지식 신념틀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3. 김지영, 강순희 (2007). 가설 연역적 탐구 실험 수업이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168-179.
  4. 김희정, 김성원(2012). 과학의 본성과 예술의 속성에대한 예술고 고등학생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32(4), 586-603.
  5. 노태희, 김영희, 한수진, 강석진 (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882-891.
  6. 박종원, 김두현 (2007). 과학적 탐구상황에서 과학의본성 이해를 위한 포괄적인 학습 자료의 개발,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보고서(KRF-2006-721-B00029).
  7. 송현미, 정완호 (2001). 생물 존재 필요성에 대한 중학생의 개념생태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48-657.
  8. 조광희 (2005). 과학수업에서 예의 사용과 학생의 개념 이해: 중학교 역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Bartholomew, H., & Osborne, J. (2004). Teaching students "ideas about science": Five dimensions of effective practice. Science Education, 88(5), 655-682. https://doi.org/10.1002/sce.10136
  10. Choi, K., Chong, H. J., Lee, K., & Chang, H. (2005). Need and significance of S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6), 650-657.
  11. Duschl, R. A. (1990). Restructuring science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eories and developmen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2. Irwin, A. R. (2000). Historical case studies: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in context. Science Education, 84(1), 5-26.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1)84:1<5::AID-SCE2>3.0.CO;2-0
  13. Khishfe, R., & Lederman, N. G. (2006). Teaching nature of science within a controversial topic: Integrated versus nonintegrated.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4), 395-418. https://doi.org/10.1002/tea.20137
  14. Lederman, N. G. (2007). Nature of science: past, present, and future.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869- 872.
  15.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https://doi.org/10.1002/tea.10034
  16.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7
  17. Miles, M. B. & Huberman, A. M. (2009). 질적자료분석 론. 박태영 외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Sage Publications, Inc. 1994.
  18.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 Park, H. J. (1995). A study of the components of students'conceptual ecologi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 Posner, G., Strike, K., Hewson, P., & Gertzog, W.(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2), 211-227. https://doi.org/10.1002/sce.3730660207
  21. Solomon, J., Duveen, J., McCarthy, S., & Scott, L. (1992).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th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409-421.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8
  22. Strike, K. & Posner, G.(1985). A conceptual change view of learning and understanding. In L. West & L. Pines(Eds.), Cognitive structure and conceptual change (pp. 211-230). Orlando: Academic press.

피인용 문헌

  1. 우리나라 생명과학 관련 분야 재미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있는가? vol.34,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7.0677
  2.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과학의 본성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vol.9, pp.1, 20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65
  3.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정도 탐색 : 7차 및 2009 개정교육과정사례 분석 vol.9, pp.2, 2016,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2.217
  4.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 프로그램에서 과학사 및 과학철학 기반 융합 문제를 해결한 이공계열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의 사례연구 vol.39, pp.4, 2019,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4.499